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다른 고객들에 대한 인식이 럭셔리 가치, 웰빙인식, 브랜드 자아개입과 프리미엄클래스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연령, 소득수준, 이용빈도의 조절효과와 함께-
The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Perceptions of Other Customers on Luxury Value, Well-Being Perception,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Willingness to Pay Premium Class: The Moderating Roles of Age, Income and Frequency
안효정 ( Hyo Jeong An ) , 현성협 ( Sung Hyup Hyun )
관광학연구 39권 6호 31-46(16pages)
DOI 10.17086/JTS.2015.39.5.31.46
UCI I410-ECN-0102-2015-300-00175454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항공사 프리미엄 클래스에 탑승하는 승객들이 다른 좌석에 앉아있는 승객들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고찰하고, (2) 탑승객들의 럭셔리 가치에 대한 지각과 웰빙인지도, 승객들의 프리미엄 클래 스 지불의사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하며, (3)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승객들의 나이, 소득, 그리고 항공사 이용빈도 가 조절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연구가설들 이 도출되었으며, 이 가설들은 프리미엄 클래스에 탑승해 본 적이 있는 300명의 승객들로부터 수거된 데이터를 활 용하여 검증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가 도 출되었다. 첫째, 항공기의 다른 좌석에 탑승해있는 고객들이 지난 3가지 영향요인들은 승객들의 럭셔리 가치 형성 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 둘째, 대부분의 가설들이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승객들의 나이, 소득, 이용빈도 는 모두 유의한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론은 항공사 마케팅에 있어서 실무적이고 활용가치 가 높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1) examine the role of perceptions of other customers in the formation of premium class passengers`` luxury value,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luxury value, well-being perception,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Willingness to pay premium class, and (3)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income and frequency.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300 Korean luxury passengers who had taken premium class in a recent year. The results revealed that (1) three dimensions of perceptions of other customers are critical factors in the formation of luxury value. (2) most of the hypothesis are supported, and (3) age, income and frequency play significant moderating roles. This study provided crit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luxury marketing managers in the airline industry.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V.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