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부간의 교섭력이 가사 및 육아분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제 비교가 가능한 「ISSP 2012」데이터를 이용하여, 8개 국가(미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일본, 중국, 대만, 한국)를 복지 레짐 및 지역별로 국가들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섭력(부부간 소득 비율)은 가사 분담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아내의 교섭력이 커질수록 아내 자신의 가사 및 육아 분담률은 감소했는데, 그 감소율은 점차 작아졌다. 국가별 특징으로는, 스웨덴은 교섭력이 가사 및 육아 분담률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일한 국가였다. 독일은 교섭력이 육아 분담률에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중국과 대만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bargaining power affects couples`` distribution ratio of housework and childcare by comparing 8 counties(the US, Gernamy, France, Sweden, Japan, China, Taiwan, and Korea) classified by welfare regimes and regions. By using ISSP 2012 data, the current study finds bargaining power within couples(income ratio) has significant effects on housework and childcare; in general, the higher wives’ income, the less housework and childcare. Sweden is the only country that bargaining power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both housework and childcare sharing. The relations between bargaining power and childcare sharing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Germany, but negative in China and Tai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