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2년도 우리나라 산업연관표와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SP-IDC) 수출입 항만물동량 통계를 접목한 산업연관분석으로 수출입 항만물동량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산업연관표 통합 대분류(30개 부문)의 산업과 SP-IDC의 화물품목을 서로 매칭하여 28개 산업부문으로 재분류하였다. 또한, 수출입 유발효과에 항만물동량 원단위를 적용하여 물동량 유발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수출유발계수와 수출물동량 유발계수 사이의 상관계수가 0.45에 불과한 반면, 수입유발계수와 수입물동량 유발계수 사이의 상관계수는 0.92에 이른다. 수출입 항만물동량 유발계수가 큰 산업은 석탄 및 석유제품, 섬유 및 가죽제품, 비금속광물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 재정사업의 추진으로 발생하는 수출입 항만물동량을 예측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d maritime export and import volume inducing effects using input-output analysis which combined shipping and port internet data center (SP-IDC) port statistics with input-output tables of the year 2012 of Korea. In the analysis process, we reclassified 30 sectors in the high classification level of the input-output table into 28 sectors by matching between freight items of SP-IDC and sectors in the input-output table. Moreover, we produced maritime volume inducing effects by applying maritime volume basic units to the export inducing and import inducing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xport inducing effects and maritime export volume inducing effects is only 0.45, but the value between import inducing effects and maritime import volume inducing effects is 0.92. Sectors with large maritime export and import volume inducing effects are revealed a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textiles and leather products``, ‘chemical and allied products`` and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analysis results will contribute to helping in forecasting maritime volume according to the government bas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