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2011년 대재난은 시대적 구분을 위한 공통체험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북부 지방의 대지진은 일본사회를 「전후시대」에서 「3.11재난 이후」시대로의 시대전환의 사건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패러다임 전환은 일본인의 공통인식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 정당정치, 생활방식, 에너지 정책 그리고 지역사회의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구조 측면에서 주목하여 본다면, 3.11 대지진은 일본사회가 일극중심의 사회에서 다극형사회로 전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정당정치의 측면에서도 기존의 여야당간의 이해 관계의 대립이 아니라 재난 복구를 위한 프로젝트형 정치의 시대로 전환을 촉발하는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생활방식의 측면에서도 안정지향형 생활방식에서 탈피하여 노매드라이프(nomad life) 사회로의 전환이 촉진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에너지정책에서도 일대 전환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원자력 의존형 사회에서 탈피하여 2030년에는 원자력을 전폐하는 정책적 전환을 마련하였다. 에너지 소비형 사회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생한, 소비하는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2011년 3.11 이후 중앙정부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중앙주도의 행정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게 되었다. 결국 지역주민상호간의 연대나 친밀감을 토대로 한 지역사회의 중요성과 그 안에 존재하는 사회적 관계가 매우 중요한 사회적 네트워크로 등장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paradigm change into "Post-disaster Japan". A year and a half has passed since that day. 3/11, when the unprecedented earthquake, tsunami and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struck the Tohoku region. We instinctively understood that an inconceivable thing-something that seemed not of this world-had occurred. "Post-disaster Japan" came crashing down around us. A wave came upon us that would utterly transform this country into "Post-disaster Japan". For better or for worse, rapidly becomes preoccupied with promoting a "return to normality" as soon as possible, that consciousness of an impending disaster. Moreover, in regard to this unprecedented situation, we are naturally being forced to deal with reconstruction via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as there are no prior examples for us to follow. Large-scale development of land, formation of new living and working places, readjustment of land use in a variety of ways: all of these are challenges that the local authorities of the Tohoku region had never even thought about. With no exemplars to follow, insufficient manpower, and reduced administrative functions due to the damage wrought by the disaster, we must tackle a major project that should be described as the new creation of the national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