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전 한국의 개신교지형은 정교분리, 종교자유, 종교시장의 논리와 친화성을 지닌 ``교파교회``의 공존으로 특징지어지며 주요 교파는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세 교파가 상호 유사성과 차이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를 중심으로 교파정체성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한국 개신교의 지형도를 그려보았다. 이 세 교파는 서로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천주교를 ``공동의 적``으로 설정하면서 교리, 의례, 조직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공세적 인 비판의 논리를 전개하였다. 나아가 개신교인과 천주교인의 결혼을 금지하고, 신의 명칭을 천주교의 ``천주`` 대신 ``하나님``으로 표기하고, 신교-구교의 이분법을 통해 개신교와 천주교의 차이를 강조하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였다. 세 교파의 타교파 인식에는 일정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장로교의 경우 교단헌법에서는 교파 사이의 협력을 강조했지만 구체적 현실에서는 교파 우월주의의 모습을 자주 드러냈다. 특히 장로교 신조와 장로교 정치가 장로교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무기로 자주활용되었다. 장로교 중심주의는 장로교를 ``피라미드``의 정점에 위치시키고 그 밑에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안식교의 순서로 교파를 배치하는 ``교파의 위계화`` 전략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감리교는 타교파에 대해 매우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감리교의 정체성을 강조하였다. 감리교의 경우 헌법만이 아니라 대표적인 지도자들도 타교파와의 차이를 존중하는 교파 다원주의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주일예배나 신자교육의 장에서는 감리교의 정체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감리교의 교파의식은 자기정체성을 강조하는 교파 다원주의라고 할 수 있다. 성결교의 교파정체성은 ``회복의 수사학``과 ``진입의 정치``로요약된다. 성결교는 담론의 차원에서는 타락 이전의 ``순수 감리교``를 회복한 것이 성결교라고 주장했고, 실제의 차원에서는 장로교와 감리교가 지배하는 개신교지형의 중심부로 진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describe the religious landscape which consisted of protestant denominations in modern Kore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byterianism and methodism and holiness church. Most of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 regarded Roman catholicism as a dangerous enemy in mission field. They criticized Roman Catholic church`s doctrines, ritual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 terms of protestant theology.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 also tried to make a differentiation strategy, putting a stress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otestantism and Roman catholicism, for example, name of God. In the eye of Korean protestantism, after all, Roman Catholic church was a converted form of Christianity. Presbyterian church, the largest denomination in Korea, revealed the self-centered attitudes to other denominations. Presbyterian theologians and leaders regarded presbyterian creeds and policy as the best. They also tried to make a hierarchy between presbyterian church and other denominations. Methodist church took open attitude to other denominations, empathizing the cooperation between protestant denominations. At the same time, methodist church put a stress to the formation of methodist identity by religious education. In short methodist church showed a denominational pluralism based on self-identity. Holiness church, a minor group, commanded a rhetoric of recovery, arguing that holiness church, as a "pure methodism," is a substitute for "secularized methodism." According to holiness movement, a true heir of Wesleyanism is holiness church. Also holiness church leaders had a dream of becoming a major group among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