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보조금이 단말기시장에 미치는 사회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2008년의 휴대폰 모델별의 가격, 판매량, 제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수요탄력성을 추정하고, 휴대폰제조업자의 최적화를 기반으로 마크업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단말기보조금으로 인한 소비자잉여 및 생산자 잉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말기보조금으로 인한 생산자잉여 및 소비자잉여의 증가가 단말기보조금보다 커서 전체적으로 사회후생이 약 1조 9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말기보조금 전부가 이동통신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잉여감소로부터 발생하였다는 가정을 한다면, 양 시장을 통털어 소비자잉여가 약 9천억 원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단말기제조사의 단말기보조금이 이 금액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 경우 소비자잉여가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단말기보조금이 일방적으로 소비자부담으로 귀결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mobile handset subsidy from mobile carriers on the social welfare of handset market using 2008 data. For this purpose, the price elasticity of handset demand is estimated using prices, sales volumes, and specifications of handset models. Mark-ups of handset makers are also estimated under the assumption of profit maximizing behavior of handset makers. By employing these two estimates and other reasonable assumptions, social welfare change in the handset market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the increase of social welfare due to handset subsidy was greater than the handset subsidy itself, leading the social welfare surplus of 1,900 billion won. If we assume that the entire handset subsidy comes from the revenue of mobile services, consumer surplus decrease was estimated as 900 billion won. Since it is reported that subsidy from the handset manufacturer exceeds the amou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net increase of consumer surplus. In conclusion, it is hard to conclude that handset subsidy is only burden on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