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서 시간은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고 정서를 환기하는 등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은 우리의 일상에서 낮과 밤으로 대별되며, 이 중 밤은 낮과 밤의 계합체계에서 더 강한 항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인간의 의식과 더욱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의 밤은 작가와 시대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상화되어 실로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삼국유사』 소재 향가 중 밤을 배경으로 하거나 밤에 관한 언급이 있는 작품을 대상으로 향가에 나타난 밤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향가에 나타난 밤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찬양·사모의 밤과 기원·원망의 밤, 그리고 性愛·풍류의 밤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찬양·사모의 밤은 <찬기파랑가>와 <모죽지랑가>에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초월적 시간과 낭만적 시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원·원망의 밤은 <원왕생가>와 <원가>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화자가 갈등을 수용하는 양상에 따라 각기 다른 정서를 환기하며, 초월적 시간과 실존적 시간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성애·풍류의 밤은 <서동요>와 <혜성가>, <처용가>에서 볼 수 있는데 이때 밤은 인간의 개체적인 만남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는 시간으로 삶의 깊은 정취가 짜여지는 축소와 수렴성의 시간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Time in literature is experimental·subjective time. Daily time is broadly divided into day and night, and night particularly has been loved by literature. Night that is expressed in literature appears diversely depending on writer and consciousness of time. This thesis studied the night that appeared on Hyangga. The night that appeared on Hyangga can be categorized as night of praise· longing, night of wish·resentment and night of sexual love·appreciation for the arts. The night of praise·longing can be seen on and , and they each have meaning as transcendental time and romantic time respectively. The night of wish·resentment is shown in and , and this night shows different sentiments according to aspects of narrator accepting the conflict, and it is categorized as transcendental time and existential time. The night of sexual love·appreciation for the arts is shown in , and , and this night is when human`s individual meetings take place. It plays a role as a time of reduction/convergence that shows deep mood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