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제 변인들(보육교사 개인 변인, 근무환경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보육교사 민감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 114명이었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변수 각각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긍정적 민감성과 관련하여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급여, 보육효능감, 아동중심신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 학부모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부정적 민감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최종학력과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 동료와의 관계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을 살펴보면, 긍정적 민감성은 급여, 총근무경력, 아동중심신념, 업무과부하,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고, 부정적 민감성은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부족이 가장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였다.
The sensitivity of the child care teacher refers to how they reacts verbally and behaviorally to the infants, and is an attempt to measure quantitatively various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teacher sensitivity, differently from the method, which analyzes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teacher quality and teacher`s behavior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eacher sensitivity with various variables (teacher personal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known to influence on the teacher sensitivity and to verify if these variables can predict the teacher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4 teachers working at th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significance on each variable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stepwis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alary, the total work period, the child-oriented edu-care faith, and the job stress due to the overloa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f pupils were the strong predicting variables for the positive sensitiveness. But the job stress from the leadership and the in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president was for negative sensi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