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구성주의 기반 현직교원교육의 기초 모형 안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학습의 원리와 기존 현직교원교육 모형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현직교원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의 의의에 대해 논하였으며, 이 논의를 토대로 구성주의 기반 현직교원교육 모형 안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구성주의 기반 현직교원교육 모형 안은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교수자, 학습자, 학습환경 등의 구조를 바탕으로 구안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주의 기반 현직교원교육 모형 안 개발과 관련하여 다양한 구성주의 관점의 적용, 현실 맥락 및 교육 맥락의 반영, 현직교원의 참여, 비교접근에 있어서의 경계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초 모형 안의 실제 적용을 위해 필요한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f the constructivism-base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at purpose, I discussed the perspectives on constructivism -base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 argued the meanings of the developing the constructivism-base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and arguments, I developed the model on the constructivism-base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is model on constructivism-base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s consisted of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 evaluation, teachers, students, and environ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 commented that 1) we should apply the various constructivistic perspectives on developing the in-service teahcer education program, 2) we have to consider the reality on school and education, when developing the in-service teahcer education program, 3) In-service teachers have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service teahcer education program, 4) we should approach carefully on comparative situation. Finally, I suggested the five proposals to apply this model to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UCI(KEPA)
I410-ECN-0102-2012-370-002434104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교육
: KCI등재
:
: 계간
: 1598-5202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3-2022
: 713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