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후보
이혼가정아동의 적응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program for adjustment of divorced -family children
민서정 ( Seo Jung Min )
UCI I410-ECN-0102-2012-370-001738530

본 연구는 독서치료가 이혼가정 아동의 이혼지각변화, 자아존중감의 변화, 문제행동에 어떻게 효과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서 이혼가정 자녀의 적응과 가족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들을 위한 하나의 임상적 접근으로 타당한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이혼가정의 초등학교 3, 4, 5학년 5명의 아동이다. 측정도구는 Kurdek과 Berg(1987)의 부모이혼지각 척도(Child``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cale: CBAPDS)와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 그리고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1997)에 의해 번안된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통계 방법 중 Paired Sample에 사용되는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내용분석법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가정 아동들은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부모이혼지각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 수준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이 중 위축, 비행, 공격성은 낮아졌지만 신체증상과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 진행 동안 아동의 행동을 내용분석 한 결과 자기 개방과 표현의 증가, 그리고 지각의 변화, 태도변화의 측면에서 질적 변화를 보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perceptional change of divorc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 of children with parental divorce . The subjects are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3rd to 5th grade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To assess the effects, Wilcoxon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s for Paired Sample,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jointly observed by a program assistant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motional change.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core of the perception on parental divor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bibliotherapy program. Seco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in terms of the change of self-esttm. Third, meaningful differences rete evident with respect to the overall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shrinking, delinquency, aggression in the statistic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ores of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social immaturity and thinking problem in the statistics. After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the child`s behaviors found during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qualitative changes on the self-open, increase of expression, perception and attitu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