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놀이치료자가 지각하는 좋은 치료자 자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fication of a Good Therapist Perceived by Play Therapists
진화숙 ( Hwa Suk Jin )
UCI I410-ECN-0102-2012-370-001109973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가 지각하고 있는 좋은 치료자의 자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 내 30명의 놀이치료자들을 대상으로 이뤄졌고 연구대상자들은 좋은 놀이치료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해 자기보고식(self report)으로 기술하였다. 응답 내용은 그 내용이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개념으로 각각의 진술을 그룹 지었으며, 그 내용을 지도교수 1인, 박사과정 이상의 놀이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놀이치료자 3인의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응답내용이 분류되었다. 이를 통해 임상에 있는 놀이치료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놀이치료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해 알 수 있고, 놀이치료자 훈련 및 교육을 통한 치료자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가 시도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상에 있는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좋은 놀이치료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해 제시된 내용을 분류해 보면 크게 인간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놀이치료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로 인간적 자질 3개와 전문적 자질 5개로 전체 8개의 내용 주제를 살펴보면, (1) 인격적 성숙 (2) 아동 이해 (3) 보편적 가치관과 상식 (4) 폭넓은 상담지식 (5) 질적인 수련경험 (6) 사례관리 능력 (7) 치료 기술 (8) 아동 환경 이해와 관련된 주제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qualification of good play therapists perceived by play therapists. A total of 30 play therapists in Seoul and Gyeonggi were surveyed and they described the qualification required to a good therapist in a self-report format. With this, the qualification, which is necessary to play therapists and is perceived by them at clinical, could be turned out. Response contents divide into groups each statment as similar concept. That contents classify by examination and revision with one academic adviser and three play therapists who have play therapist` certification that is more than doctor`s course. So the study was tried to be of help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of therapists through training and education of play therapis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 When I classified the qualification, which should be prepared as a good play therapist and is perceived by play therapists at clinical, it is largely perceived as two concepts; the human elements and technical one. Looking at the qualification for good play therapists, there are overall 8 elements including three elements of human qualification and five one of technical qualification; (1) mature personality (2) a notion about children (3) universal values and common sense (4) comprehensive counsel knowledge (5) quality practice experience (6) case management capability (7) treatment technique (8) understanding on children`s environ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