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최지연 ( Choi Ji-yeon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간행물 :
한문교육연구
58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521-553(33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 연구에는 빈공간이 존재한다. 중국은 정부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 아래 디지털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디지털인문학 분야에 그대로 적용되어 동양고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만들어 내었다. 한국과 중국은 예부터 한자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동양고전과 관련된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한다. 2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정책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3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교육을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 분야에 시사점을 찾는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중국 디지털인문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중국이 어떠한 어젠다를 가지고 디지털인문학을 이끌어 가는지를 고찰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China, focusing on policy, achievement, and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also has a different appearance every day, so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resent appearance. However,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the research on its results, so it is difficult to know in what context and what kind of support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received and aimed 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China's policies, achievements, and education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to draw a big picture of China's digital humanities, and to find out what agenda the Chinese government is leading digital humanities with. Many implications will be obtained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related to Chinese Classic in Korea.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이 글은 제프리 로버츠(Geoffrey Roberts)의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스탈린이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 초기 동안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소련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사고하고 행동하였는지를 면밀히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로버츠는 이 저서에서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스탈린이 군사 지도자로서 “대체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유능했으며, 전쟁 중은 물론이고 전쟁 이후에도 '대연합'을 유지하려고 애를 씀으로써 냉전을 어떻게든 회피하려 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로버츠의 이 테제는 예컨대, 전쟁 초기는 물론이고 전쟁 후반기에도 스탈린이 계속 저질렀던 군사적 실책들의 중요성을 거의 무시하거나, 스탈린의 사고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 공산주의 이념의 역할을 경시하거나, 때로는 스탈린이 모든 외교적 결정을 주도한 것처럼 그의 리더십을 지나치게 강조한 데 바탕을 두고 있다. 그의 주장이 좀 더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보다 확실한 증거와 관련 논제들에 대한 더욱 세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take a close look into what and how Iosif Stalin as a Soviet highest leader thought and acted in order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Soviet Union during World War Ⅱ and early Cold War, reviewing critically Geoffrey Robert's Stalin's Wars: From World War to Cold War, 1939-1953. In his book, Roberts argues that Stalin was very effective and unreplaceable as a warlord, and indispensable to the Soviet victory over Nazi Germany. Also, in Robert's view, Stalin worked hard to make the Grand Alliance a success and wanted to see it continue after the war, averting the Cold War. But more evidences and deep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accept Robert's more or less bold arguments. His theses are based on almost ignoring Stalin's wrong military decisions during the Soviet-German War which often led to a national disaster. Moreover, Roberts disregards the important role of communist ideology which made a great impact on Stalin's mind-set and behavior, depicting him as a completely rational and pragmatic leader. Also Roberts often overemphasizes Stalin's leadership, as if he alone made a decision on every international issues, without appropriat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im and his diplomatic advisors and aids.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Smart tourism has globally become a major issue in tourism research, because tourists' behaviors have been reshaped by smart technologies. Even though tourism destinations are increasingly adopting smart technologies for more tourists, understanding how smart tourists behave been compared differently to traditional tourists has been limited.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an integrated structural model by adding the expected benefits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cognitive appraisals on the smart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438 Korean participant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that the expected benefi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PB and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Specifically, sustainability among the expected benefits is the most positive predictor of their attitude, whereas attitude i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behavioral intention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strategies for tourism destination marketers who must tailor operations for the smart tourists.
|
|
저자 : 김종만 ( Kim Jongma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간행물 :
기독교철학
33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163-192(30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고는 인간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고금의 인간학적 통찰에 관한 물음과 정의를 신학적 관점으로, 즉 '신학적 인간'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의 신학적 인간학은 신본주의를 근간으로, 인간을 보편자에 예속된 개별자로 이해했다. 근대에는 인본주의를 주축으로, 인간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이성을 가진 중심적 주체”로 이해했다. 그리고 탈근대에는 자아 중심의 인간학이 해체되고 인간을 탈중심적 자아 개념으로 해석했다. 신학은 이와 같은 다채로운 인간 규정에 대해 시대에 따른 각각의 신학적 인간학으로 대응했다. 중세에 대해서는 인간의 원죄와 자유의지, 하느님의 은총과 칭의에 관한 개념으로, 근대에는 주체자로서의 인간의 선의지와 역사의 진보를 향한 희망과 자율적 주체성을 중심으로, 그리고 탈근대에는 타자성과 책임 있는 자아의 개념을 등장시켰다. 하지만 시대의 산물로 등장한 이와 같은 인간 규정에 대한 신학적 대응이 출현했다는 사실은 인간이 총체적이고 종합적으로 규정될 수 없는 모호한 존재, 그리고 확정되지 않은 존재라는 사실을 방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총체적인 정의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며 신학적 인간을 '관계'의 관점에서 재고함으로써 관계적 인간으로서의 신학적 의의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questions and definitions of anthropological insights as old as human histor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at is, a 'theological human being'.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the Middle Ages understood human beings as the individual subordinated to the universal based on the theocentrism. In modern times, human beings were understood as “a central subject with rational and objective reason” led by humanism.
And in the postmodern era, ego-centered anthropology was dismantled and human beings were interpreted as a decentralized self-concept. Theology responded to these diverse human definitions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of each era. In the Middle Ages, it is the concept of human original sin and free will, God's grace and justification. In modern times, it focuses on the good will of man as a subject and hope and autonomous subjectivity for the progress of history. And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otherness and the responsible self in the postmodern era.
However, the emergence of such a theological response to human definitions, which emerged as a product of the times, proves that humans are ambiguous and unconfirmed beings that cannot be defined collectively and comprehens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as human beings of relationship by reconsidering the theological human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overall definition of human nature.
|
|
저자 : M. Imtiaz Hussaina , Alsalame Haedr Abdalha , Mahmoodb , Gwi Hyun Lee
발행기관 : 한국농업기계학회
간행물 :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7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235-235(1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In this paper, the capability of concentrated photovoltaic thermal (CPVT) for greenhouse heating was analyzed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findings. The thermal and electrical outputs from the CPVT were tested with and without protection enclosure around the CPVT assembly.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CPVT collector in terms of solar fraction is tested under different thermal storage capacities. The core concept of this section is to evaluate the energy potential and the economic viability of the CPVT as a substitute for electricity/kerosene/diesel fuels for greenhouse heating. Economic analysis of all above-mentioned systems was carried out by taking into account performance, cost, discounted payback period, and life cycle. Al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systems were tested and discussed in detail.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CPVT system increased and discounted payback perio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thermal mass. It was noticed that for some months (in particular), the heating cost of the greenhouse was reduced to zero and given system can solely fulfill their entire heating demand.
|
|
저자 : 최유리 ( You-lee Choi ) , 김일광 ( Il-gwang Kim )
발행기관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간행물 :
스포츠사이언스
40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207-215(9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태권도장에서 태권체조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수련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 참여지속의도, 추천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9세 이상 24세 미만(청소년 기본법)의 청소년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31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표본 46부를 제외하고 총 267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6.0과 AMOS ver.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목표성향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목표성향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목표성향은 추천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목표성향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지속의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태권도장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성향에 맞는 태권체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태권체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더욱 부각시켜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참여지속의도와 추천의도를 전반적으로 증대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propensity, participation continuity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youth participating in Taekwondo gymnastics. To this end, adolescents aged 9 to 24 (Basic Act on Youth)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and a total of 31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26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46 samples judged to have responded insincerely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6.0 and AMOS ver. 22.0.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achievement goal propensity, it was found that the self-goal propens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and the task goal propens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Second, among the achievement goal propensity, it was found that the self-goal propens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he task goal propens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aekwondo gyms should develop Taekwondo gymnastics programs tailored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tendencies, establish more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and improve overall participa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
|
저자 : 이소연 ( Soyeon Lee )
발행기관 : 한국경제교육학회
간행물 :
경제교육연구
29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61-97(37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경제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여 차기 경제교육과정 준비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수요목기 경제교육은 '사회생활'에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에서는 여러 요소와 통합하여, 중고등학교에서는 공민 영역에서 다루어졌다. 제1차 교육과정기 경제교육도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학교급에서 '산업, 금융, 무역'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구성이 이루어졌다.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 개념이 다양해졌고, 학교급에 따른 체계를 갖추려 노력한 흔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차 교육과정기 경제교육은 경제학의 이론적 체계에 근거하였고,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여러 학년에서 경제 관련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다. 경제교육 강화 기조에 따라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교육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졌고, 선택 교과제가 도입되었던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가 단독 교과로 개발되었고, '생활 경제'가 신설되었다. 더불어 경제교육 전반에서 민주 시민으로서 경제 주체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 특징적이며, 이러한 성격은 제7차 교육과정기에도 이어졌다. 2007 개정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면서 경제교육은 경제 개념 및 이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고등학교 경제 과목에 금융 단원을 신설하는 등 지속가능한 경제 생활을 강조하였으며, '생활 경제'가 폐지되고 '실용 경제'가 신설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기는 '통합사회'에 '시장경제와 금융' 단원을 마련하여 '경제'를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도 고등학교에서 경제 관련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preparing the next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th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he 1st curriculum period was structured around the concept of 'industry, finance, and trade' at all school levels. During the 2nd curriculum period, economic concepts were diversified, and traces of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ere also confirmed. Economic education in the 3rd curriculum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economics, and the 4th curriculum was structured so that economics could be studied in various grade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strengthening economic education, the quantity of economic education increased in the 5th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Economics' was developed as a separate subject, and the 'Living Economy' was newly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role of economic agents as a democratic citizen is emphasized, and this characteristic continued into the 7th curriculum.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economic education changed to emphasize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economics. and'Practical Economy'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rket Economy and Finance' section was prepar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so that even students who did not complete 'Economics' could study economics in high school.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기본적인 신체활동과 뉴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플립 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 수업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건강 및 신체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 10명(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을 선정, 12주간 총 30회기에 걸쳐 체계적인 수업과 중재를 실시하였다. 검증 내용으로는 수정된 PAPS-D 검사를 통해 건강 및 신체 운동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 평균 점수를 활용하여 집단, 개인별 변화양상과 함께 공분산분석(ANCOVA) 검정을 실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 프로그램은 고등부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들의 건강 및 신체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플립러닝 기반의 특수학급 체육활동과 발달 장애학생들의 건강, 신체운동 능력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논의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cluding the basic physical activities and new sports activities on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otal te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pecial education classroom (Experimental group: 5 students, Control group: 5 students), and then conducted total 30 sessions of systematic class and intervention for 12 weeks. As the contents for verification,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were measured through the modified PAPS-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change aspect of each group and individual and also conducting the ANCOVA with the use of mean score of pre-post tests. As a result of study, the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such cont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f flipped learning-bas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positive changes in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
저자 : 함영대 ( Ham Young-dae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간행물 :
한국한문학연구
84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191-222(32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이 글은 17-18세기 당대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조선 맹자학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맹자가 주장한 정치경제론의 중요한 논점을 이루는 「등문공상」 3장의 '井田制 논의'가 그 관찰 대상이다.
토지를 나누어 주는 문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논한 정전제 논의는 '어진 정치는 경계를 바로잡는 데서부터 시작한다'는 입장을 명확하게 견지했다. 그 때문에 이후 유교의 이상국가를 건설하는 데 요청되는 최소한의 경제적인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식있는 경세가들에 의해 정전제는 꾸준히 호출되며 그 실현가능성이 검토되었다. 개인의 도덕수양이 아니라 국가를 다스리는 기본방략의 차원에서 논의되기 때문에 수기치인의 국면, 곧 경세적 실천인 治人의 맥락에서 이 논점은 그의 경전읽기가 얼마나 경세적 실천의 지향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점검에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전제 논의에서 조선의 儒者들은 당대 동아시아의 지평에서도 그 문제의식의 심각성, 논의의 치밀함, 경세적 방략과의 연결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 문제는 굳이 주자의 어떠함과 비교하는 데서 그칠 필요없이 그 자체로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논제로 전개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 논의에서는 실현되지 않았던 경세적 기획의 진정성을 짚어볼 수 있는 최소한의 접근법으로 '주석자의 지향과 태도'를 중시하여 그 부분을 좀 더 치밀하게 검토했다.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과 학술사적 전통을 지니는 나라들이 하나의 보편적인 주제로 학술을 논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하나의 경전을 주제로 서로 상이한 견해가 집결된 경학은 당대의 상호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잣대가 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적인 도덕수양의 논제가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전제의 논의와 그에 대한 비교는 단순히 경학 뿐만이 아니라 당대 동아시아를 이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전제는 조선학자들이 실현을 염두에 두고 깊은 학술적 노력와 고투를 거듭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under the Mencius Studies of Joseon for the prospect of East Asia in the 17-18th century. Detailed relevant points of observation is the 'Discussion of Jeongjoen-je (A land tax system advocated by Mencius)' of Chapter 3 of 「Deungmoongongsang」 that established important point of political economic theory that Mencius asserted.
The Jeongjoen-je discussed in more details for issues involving the land allocation sustained clear position that, 'good politics starts from the correctly establishing the boundaries'. Because of this attribute, it had been steadily called upon by the conscious statemen who intended to structure the economic foundation required for building up the idealistic Confucian state and reviewed for its possibility of realization. Since it was a level to discuss the fundamental policies to rule a country, not an issue of developing individual ethics that this point may be critically utilized for checking on how his script reading would strive for the governing practice on this discussion point under the context of the phase of ruler, namely, the governing practice for a ruler. Under the point of Jeongjoen-je, thos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isplay a remarkable outcome in East Asia at the time in conjunction with seriousness of critical mind, refinement of discussion and governing policy. This issue may be developed as a general theme of East Asia without a need to stop in comparing with certain issue of Chu Shi.
Under this discourse, it is considered to be the minimal approach method to take a look at the genuineness of the governing planning that has not realized the direction of the noting party and issue of attitude and this aspect has been reviewed far more refined ways. It is not easy to discuss the academics with a single general theme by the countries that hav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and academic tradition. However, the Chinese classics that integrate mutually different opinion on a theme of scripture could be one of the barometers to understand the reciprocity of the respective time.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the Jeongjoen-je that may bring out the social changes, not an issue of the discussion topic of individual ethical improvement and the comparison thereto would have the possibility to visually expand on understanding of East Asia at the time, not just a simply critical mind of Chinese classic.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n the Jeongjoen-je has conspicuous implication with the standout struggle of Joseon scholars who completed with the profound academic endeavors with the respective concreteness in their minds.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