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Kukje Kyungje Yongu
저자 : 許苑 ( Won Heo ) , 鄭英優 ( Youngwoo Jeong )
발행기관 : 한국국제경제학회 간행물 : 국제경제연구 28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7 (27 page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본 연구는 랜덤포레스트 방법을 활용하여 취약 채무자의 채무조정 약정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정함으로써 채무조정 약정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인수한 무담보 부실채권 정보를 분석에 활용했다. 분석 결과, MDA와 MDG 기준으로 채무조정 약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상위 10개 변수 중 연체기간, 공공기관 여부, 인수가액 등 9개 변수가 서로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해당 변수들이 취약 채무자의 약정여부를 가늠하는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랜덤포레스트를 통해 채무조정 약정이 예상되는 채무자와 그렇지 않은 채무자를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채무자 정보를 반영한 현 채무조정제도의 고도화 필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the commitment of the troubled debt restructuring using Random Forest method. For this task, we utilize information on the overdue debts which were taken over by the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KAMCO) between 2013 and 2020. We find that some debtor information like overdue period, whether public institution as an origin creditor, takeover price have critical effects on possibilities of the vulnerable debtors' commitment of the debt restructuring.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at troubled debt restructuring is able to be predicted in advance through analyzing some debtors' information an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he debt restructuring system by reflecting debtors' Characteristics.
저자 : 申꽃비 ( Kotbee Shin )
발행기관 : 한국국제경제학회 간행물 : 국제경제연구 28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9-46 (18 pages)
본 연구는 미ㆍ중 무역수지와 실질환율의 실증적 관계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벡터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미ㆍ중 무역수지를 결정하는 장ㆍ단기적인 거시변수를 함께 고려했을 때, 실질환율이 양국의 무역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하였다. 장기균형관계로 볼 때 양국의 재정수지, 금융심화, 무역개방도의 차이와 실질환율이 미국의 대중적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질환율의 하락(위안화 가치의 절상)은 무역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단기적으로는 무역개방도와 교역조건과 같은 무역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분산분해분석에 따르면 장ㆍ단기적으로 실질환율의 양국 무역수지에 대한 설명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하여 양국의 무역 불균형의 지속성 변화를 추정한 결과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지속성이 감소하였다가 최근 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면서 다시 지속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래로 실시된 중국의 환율제도 개혁이 추정된 무역 불균형의 지속성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China trade balance and the real exchange rate from the two perspectives. First, the results from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how that the real exchange rate along with fiscal deficit, financial deepening and trade openness significantly affects the US-China trade imbalance in the long term while only trade-related variables such as trade openness and terms of trad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short-term dynamics of trade balance. According to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he real exchange rate has only limited explanatory power on the trade balance of two countries both in short-term and long-term. Second, we estimate the change of the persistence of US-China trade imbalance by the regime-switching model. Its persistence decreased between 2010 and 2015 and has been on the rise in the period of trade dispute. The change of the persistence of trade balance is estimat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xchange rate system reform of China since 2014.
저자 : 金智亨 ( Jihyung Kim ) , 金賢哲 ( Hyunchul Kim )
발행기관 : 한국국제경제학회 간행물 : 국제경제연구 28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7-66 (20 pages)
본 연구는 2007~2019년 기간의 재정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출산 순위별로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 변수를 무자녀 집단, 한 자녀 집단, 두 자녀 집단으로 나누어 패널로짓모형을 사용해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 간에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무자녀 집단은 첫째 자녀 출산을 고려할 때 부모의 나이, 엄마의 노동시간, 주거 주택이 자가인지 전세인지, 무자녀 상태일 때의 담배ㆍ이미용 소비성향 등이 출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 자녀 집단이 둘째 출산을 고려할 때에는 거주하는 주택이 어떤 형태인지와 주택의 크기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셋째 이상의 자녀 출산을 결정할 때에는 첫째 및 둘째 자녀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대부분의 변수들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 시행에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s in Korea by birth order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through 2007-2019. We divide the sample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birth order of the next child. The model of childbirth decisions is estimated using the panel logit model with household fixed effects. Our finding indicates that the determinants of childbirth for women without a child differs from those for women who already have a child or more. We find the childbirth of women with no child to be affected by mom's hours worked, parents' age, the ownership of house, and the expenditure on tobacco products and beauty/hair services before childbirth. We also find that the decision to give birth to a second child is affected by the type and size of residence. The childbirth of a third or higher-order child is barely related with these factor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olicies of promoting childbirth take into account the order of birth.
선택한 개의 자료를 보관함
보관함 선택 기본보관함 에 담기
공지사항⋅ 학회소식⋅ FAQ⋅ 1:1문의⋅ 뷰어 다운로드⋅ 이용안내⋅ 구독문의⋅ 제휴문의⋅ 기관 무료이용(트라이얼) 신청
OPEN API⋅ 간편 외부접속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열람자료목록을 저장합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해당 간행물이 관심간행물로 등록되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