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기 위험요인과 위기수준에 따른 중독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위기수준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조사대상자는 전라남도 J군에 소재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이며 초·중·고등학교 대상자는 총 1,599명이다.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독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를 위해 위험 및 위기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과사용 중독예방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기능 및 과사용에 대한 부작용과 올바른 사용법을 인식한다. 둘째, 스마트폰의 유혹 및 습관적 사용을 조절하고 적용한다. 셋째,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 스트레스 대처하는 방식을 계획한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위험요인 및 위기수준별로 살펴볼 때 스마트폰 중독, 약물사용, 도박문제 등 위기군에서 고위험군이 높았다. 또한 성별, 학교급별에 따른 위기문제 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에 청소년을 위한 중독예방프로그램의 요구가 필요하며 자기통제력 및 충동성 조절 그리고 긍정적인 대처전략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and crisis levels in adolescence. For this study, problems were derived by examining risk factors and crisis levels of adolescents, and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were obta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enagers located in J-gun, Jeollanam-do.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and a total of 1,59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ubjects were enrolled. Based on the survey data, a smartphone overus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and crisis for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recognize the side effects and correct usage of smartphone functions and overuse. Second, control and apply the temptation and habitual use of smartphones. Third, plan a way to cope with stress without relying on a smartphone.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looking at the risk factors and crisis level of adolescents, the high risk group was higher in the crisis group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drug use, and gambling problems. In additio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crisis problem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the contents of self-control, impulsive control, and positive coping strategies should be included.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