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별늑대거미의 시기별.지역별 발육정도와 산란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2004년 5월과 9월에 9개 지역에서 알집을 달고 있는 별늑대거미 암컷 성체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별늑대거미를 건조시킨 후 성체 건중량, 두흉부 폭, 두흉부 길이, 두 흉부 지수를 이용하여 발육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알 건중량과 산란수를 이용하여 산란능력을 비교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각 형질을 t-검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지역별 각 형질은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5월 채집 별늑대거미의 성체 건중량, 두흉부 폭, 두흉부 길이, 두흉부 지수, 알 건중량, 산란수의 범위는 각각 한 개체당 9.96-14.42mg, 한 개체당 25.2-27.9mm, gks rocpekd 34.0-36.9mm, 한 개체당 73.3-77.0, 알집 하나당 6.63-9.84mg, 알집 하나당 65.3-90.5개였다. 9월 채집 별늑대거미의 성체 건중량, 두흉부 폭, 두흉부 길이, 두흉부 지수, 알 건중량, 산란수의 범위는 각각 한 개체당 5.72-7.36mg, 한 개체당 31.87-35.6mm, gks rocpekd 41.7-46.8mm, 한 개체당 75.1-80.8, 알집 하나당 3.18-4.13mg, 알집 하나당 31.7-39.4개였다. 각 형질의 변이 폭은 지역간의 변이보다는 시기별 변이가 더 높았다. 각 조사지역에서 5월 채집된 개체와 9월채집된 개체의 성체 건중량, 두흉부 폭, 두흉부 길이, 두흉부 지수를 t-검정 및 ANOVA 분석 결과 모든 조사지역에서 채집 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또한 시기별로 조사지역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각 조사지역에서 5월 채집된 개체와 9월 채집된 개체의 알 건중량 및 산란수를 t-검정 및 ANOVA분석결과 역시 모든 조사지역에서 채집 시기별 및 조사지역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
|
저자 : Young Eun Na , Hae Son Bang , Kee Kyung Kang , Min Sun Han , Young Joon Ahn
발행기관 : 한국토양동물학회
간행물 :
한국토양동물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5권 0호
발행 연도 : 2005
페이지 : pp. 25-25 (1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Heat shock protein70 (hsp) has been used as biomarker in response to exposure to complex mixtures including contaminants. The heat shock response is characterized by the induction of a set of stress proteins, namely, heat shock proteins (HSPs). A number of environmental pollutants has been found to induce HSP synthesis in many organisms or cell tissue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toxicities of five type wastes were evaluated using one of environmental biomarkers, Hsp70. The hsp70 expression began to increase after treatments and showed high peak at 6 hr after treatment, followed by zero level at 12 hr. The quantity of hsp70 expressed by the exposure to municipal sewage sludge, industrial sewage sludge, leather processing sludge, alcohol fermentation processiing sludge, and pig manure compost was 3.3-, 4.4-, 4.7-, 3.0-, and 1.9-fold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distilled water as control,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rapid and simple test measuring induced hsp70 might be used for assessing long-term effects of wastes introduced into soil.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