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THE BOKHYEON SARIM
저자 : 김경남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5-31 (27 pages)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우리가 살고 있는 근대 도시 형성의 기원은 언제부터인가. 이 도시화는 공업화와 함께 근대 자본주의의 바로미터가 되었으며, 이 체제하에서 자본가와 임노동자층, 샐러리맨 등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한국은 어떻게 제국주의 전쟁 시스템 속에 놓이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식민도시는 어떻게 건설되었고, 그것이 한반도의 자본주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일제시기 경제에 대한 근대화와 수탈론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본고에서는 식민도시건설과 자본의 축적과정을 연관시켜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으로 한국 자본주의 형성에 대하여 검토하려고 한다. 현재도 신도시를 만들면 필연적으로 불로소득이 발생한다. 일제는 한반도에서 거류지와 식민도시를 만들어 불로소득을 챙겼고, 그로 인해 한국인들이 자본을 형성하는 데는 불평등이 시작되었다. 1876년 이후 개항장에 거류지를 만들고, 한국 강제 병합 이후 거류지의 식민도시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소수의 일본인들은 대자본을 축적한다. 도시를 개발하는 것은 주민들의 행복을 위한 것이지만, 일제가 한반도에서 추진한 식민도시 건설은 일본인이 정착한 시가지를 중심으로 추진된 것이었고, 조선인들이 살던 지역은 상대적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신흥도시에 정착한 소수 일본인 중심의 부의 축적과 자본가로의 변신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일제하 도시건설은 도시계획을 근대적으로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한 민족을 배타적으로 차별하게 만드는 식민성을 띤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중일전쟁 이후 조선대륙병참기지화 과정에서 일본의 독점자본이 침투하는 한편 조선에서 성장한 일본인과 한국인 자본가들도 정경유착 구조를 만들어 자본을 늘려나갔으며, 군사독점체제를 떠받치게 되었다. 반면, 식민도시의 군사기지화 과정에서 도로나 항공기지를 만든 것은 강제 동원된 한국인들이었다. 따라서 일제의 식민도시 건설은 일그러진 자본주의를 형성하는 근간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 : 김건우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33-45 (13 pages)
저자 : 이재두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47-62 (16 pages)
저자 : 강준석 , 정성수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63-95 (33 pages)
저자 : 손재현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97-106 (10 pages)
저자 : 강미경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07-118 (12 pages)
저자 : 신형석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19-128 (10 pages)
저자 : 김일년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29-136 (8 pages)
저자 : 김현주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37-141 (5 pages)
저자 : 여치호
발행기관 : 경북사학회 간행물 : 복현사림 39권 0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43-152 (10 pages)
선택한 개의 자료를 보관함
보관함 선택 기본보관함 에 담기
공지사항⋅ 학회소식⋅ FAQ⋅ 1:1문의⋅ 뷰어 다운로드⋅ 이용안내⋅ 구독문의⋅ 제휴문의⋅ 기관 무료이용(트라이얼) 신청
OPEN API⋅ 간편 외부접속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열람자료목록을 저장합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KISS 고객센터: kiss@kstudy.com
해당 간행물이 관심간행물로 등록되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