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이명천 ( Lee Myung-chun ) , 이산인군 ( Lee Saningun ) , 박순희 ( Park Sun-hee ) , 김혜진 ( Kim Hye-jin ) , 김은주 ( Kim Eun-joo )
발행기관 : 한국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학회
간행물 :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1권 1호
발행 연도 : 2019
페이지 : pp. 1-6 (6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이란 용어 사용, 개념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건강미용문화 연구자들은 10개월간(2019. 2~10.) 수합한 참고문헌들을 토론과 선택,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9가지 항목들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1) 국가공인 및 국가등록 민간자격증 제도의 현실화 및 내실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안 마련, 2) 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의 하부 컨텐츠와 커리큐럼 제고, 3) 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의 모 학문과 정체성 확립, 4) 체계적인 교육방안과 연수원 시스템 도입, 5) 지도자 및 전문가 자격증 제도 강구, 6) 전문가 이익 확보, 7) 사회문화적 환경조성과 전문성 확보, 8) K-Beauty 전문 국가기관 설치운영, 9) 건강미용문화 세분화에 따른 연구방안 마련, 10) K-Beauty 전문 국가기관 설치 운영방안 마련이다. 그 결과 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의 정체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해 추후 단기간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
|
|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심부근육 강화와 관절의 안정성확보를 위한 신체기전 활성화의 가능성과 측정평가 척도개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태권도 수련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신체적 변화요인, 체력요인, 그리고 기능적 요인으로 활용되고 있는 분야별 격기 종목을 알아보고 태권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움직임이 심부근육의 훈련에서 동원되는 피드포워드(feed forward)양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태권도 수련의 팔다리 빠른 동작의 구현은 체간의 심부근육을 자극하는 기전이 활성화되고 반복적인 태권도 수련이 허리부위 심부근육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운동프로그램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성인기와 장년기의 좌업식생활에 따른 요통 발생에 대하여 예방운동으로 가능성이 시사되었고, 태권도 수련 기간에 따른 심부근육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측정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
저자 : 정문영 ( Jung Moon-young ) , 류서원 ( Ryu Seo-won ) , 길재호 ( Khil Jae-ho )
발행기관 : 한국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학회
간행물 :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1권 1호
발행 연도 : 2019
페이지 : pp. 17-29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목,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거북목 증후군 30대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정체경락(整體經絡) 프로그램이 체격, 통증완화, 낙상지수 및 체중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집단 시계열설계(one group time series design)이며, 프로그램은 8주간 12회를 간헐적으로 적용하였다. 통제기간, 처치기간, 그리고 회복기 각각 전후 집단 내 대응비교(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모집단의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주 12회 정체경락 프로그램 적용은 신장의 유의한 증가(p<.001)와 10일간의 회복기 유지 효과가 나타났다(p<.05). 체중은 처치 시기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체지방률은 회복기 4차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5). BMI는 처치기간 후와 회복기에서 각각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 체형의 슬림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흉추상부전방기울기는 처치 후와 회복기 후에서 통제기에 비해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다(p<.05). 목 어깨 통증척도는 처치 후 유의한 효과(p<.001)을 나타냈으며, 회복기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낙상지수도 처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p<.05). 그러나 회복기에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정적자세 균형검사에서는 PO(pillow-eyes open)와 PC(pillow-eyes closed)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체중분포가 시상면(sagittal plane) 중심 25% 가까이로 모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정체경락 프로그램을 통한 전신이완은 신장의 증가, 체질량지수와 통증 감소, 흉추상부 전방기울기, 그리고 선 자세에서의 앞뒤 흔들림에 따른 체중분포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
저자 : 류서원 ( Ryu Seo-won ) , 김송자 ( Kim Song-ja ) , 장완성 ( Chang Wan-song )
발행기관 : 한국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학회
간행물 :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1권 1호
발행 연도 : 2019
페이지 : pp. 31-45 (1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거북목 증후군(Upper crossed syndrome)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정체경락 프로그램을 주 3회(A집단), 2회(B집단), 1회(C집단) 빈도별로 처치하여 척주형태 및 정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3D 체형검사장비(BackMapper)와 정적균형검사 장치(Tetrax)를 이용하여 집단 간, 시기별 각 변인을 산출하였다. 무선할당 된 A, B, C 집단의 시기 간 평균차이를 제시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general lineal model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인의 시기 간 주 효과가 나타난 사후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시기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기간은 11주이며, 각 집단에서 2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각 집단별 프로그램 적용 후 10일 간 휴식기를 두었다. 그 결과 척주형태 변인 중부흉추후만각은 A, C집단 사전 사후비교에서 각각 감소(p<.05), 요추전만각은 A집단이 유의한 감소 차이를 나타냈고(p<.05), 요추만곡과 척주전방기울기, 그리고 척주좌우기울기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균형검사 안정성지수는 A집단내 전·후 비교에서, C집단은 처치가 끝나고 10일 후 비교에서 유의한 감소 결과를 나타냈다(p<.05). 따라서 전신이완 정체경락 도수관리 프로그램은 거북목증후군 소견이 있는 여성 척주의 중부흉추후만각, 요추전만각, 그리고 정적균형검사 안정성지수에서 주 1회, 2회, 3회 처치는 각각 유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
저자 : 김송자 ( Kim Song-ja ) , 정문영 ( Jung Moon-young ) , 장명재 ( Chang Myoung-jei )
발행기관 : 한국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학회
간행물 :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1권 1호
발행 연도 : 2019
페이지 : pp. 47-59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연구의 목적은 휜다리교정을 위한 정체경락 복합프로그램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30대 중반 여성 내반슬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무릎간 거리를 좁히는 휜다리 정체경락 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구성 및 체력, 하지 골격형태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Two-way ANOVA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fat의 유의한 감소(p<.001)와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균차이가 3.82(ml/kg/min) 증가하였고, 호흡수도 4.27(회/분) 증가하였다. 그리고 골반의 후방경사와 하퇴의 외회전에 따른 슬개골의 각도 정상화는 무릎간 거리를 평균 3.26cm 좁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정체경락 복합프로그램에 의한 8주간의 내반슬 교정은 실험집단의 신체구성 및 체력, 하지의 골격형태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오자형 내반슬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수술적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