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노보람 ( No Boram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20 (20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 및 아동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연구의 8차 연도 1,423가구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척도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정도가 달랐다. 둘째, 아동 성별의 영향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놀이 활동 참여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였지만, 아버지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
|
저자 : 임상은 ( Lim Sangeun ) , 신혜원 ( Shin Hyewon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21-39 (19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영아의 놀이성이 영아학급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놀이참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12개 기관의 만 1,2세 영아 144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Barnett(1991)의 '유아 놀이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영아의 놀이성을 측정하였다. 영아학급의 물리적 환경과 교사의 놀이참여는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여 평정하였는데, 물리적환경은 이은해 외(2003)의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로, 교사의 놀이참여는 송혜린(2004)의 '교사의 놀이참여'를 영아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영아의 놀이성은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의 경우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고, 영아학급의 물리적 환경 수준과 교사의 놀이 참여 수준은 교사의 학력이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영아학급의 물리적 환경수준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 중 신체적 자발성과 사회적 자발성이 높았고, 교사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은 친사회적이고 보다 수준 높은 놀이로 확장해 가는 양상을 보였다.
|
|
저자 : 이정인 ( Lee Jung In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41-60 (20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터넷게임중독과 부모-자녀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8일부터 8월 1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81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v. 22와 PROCESS Macro v. 4.0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첫째, 가족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가족스트레스가 인터넷게임중독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셋째, 가족스트레스와 게임중독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모-자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게임중독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가 게임중독으로 이르는 과정을 예방할 수 있는 실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
저자 : 우수정 ( Woo Su Jung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61-73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 연구소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2018년) 자료의 아동 1,428명과 그들의 소속 학급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내생변인으로서 학교생활적응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즉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이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
저자 : 박슬기 ( Park Seul-ki ) , 백지혜 ( Baek Jee-hea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75-98 (24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음악활동의 실제 및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 음악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D, S, U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6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음악활동의 실제 및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음악활동의 의미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해 일상생활 중 음악을 제공하며,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음악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특수교사들은 음악활동을 제공하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발달특성 고려 및 음악적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수교육대상유아들에게 음악은 즐거움의 표현이며, 자신을 이해하고 친구와 함께하는 매개체이며, 자신의 발달을 돕는 활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 음악활동은 반드시 필요한 활동이며 유아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수정·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유아특수교사들이 적절하게 음악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수프로그램, 학습공동체 등이 지원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
저자 : 홍은비 ( Hong Eunbi ) , 정은숙 ( Jung Eunsook ) , 노성향 ( Rho Sunghyang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99-114 (16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관계에서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어머니 취업유무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2018)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아동 1,1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4.0와 AMOS 24.0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을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간의 관계에서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집행기능 곤란,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
저자 : 안지혜 ( Ahn Jee Hye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15-140 (26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4년제 아동학과 2학년인 예비보육교사들 21명의 저널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부터 자신을 불안하게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에서 경험되었다. 그들이 나아가려는 진로는 경험해보지 않아 알 수 없는 막막함으로 느껴졌고, 고된 일이 되어질 것이라는 불안, 흔들리는 보육교사의 인권과 편향된 관점에 대한 불안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불안 속에서도 진로에 대한 희망을 느끼고 있었는데, 불안한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는 것, 위기는 곧 기회가 되어진다는 것,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는 것, 나 자신을 믿고 새로운 '나' 되어가기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불안에 대한 또다른 관점과 행위주체성을 가진 나와 세계에 대해 조명해보았고 희망은 현재와 미래의 대화과정 속에서 이해해야 하며 예비보육교사에게 사회적 지지체계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의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
저자 : 김미경 ( Kim Mi-kyung ) , 조규판 ( Cho Gyu-pan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간행물 :
열린부모교육연구
13권 4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41-159 (19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 학습몰입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1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6.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 부모학습관여, 성취목표지향, 학습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희망, 자기효능감, 복원력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부모학습관여의 하위요인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 학습방식 존중, 학습성과 압력이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성취목표지향의 하위요인 숙달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는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