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손주희 ( Juhee Son ) , 박민정 ( Min-jeong Park ) , 정성규 ( Sungkyu Ju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7 (17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모수적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두 차등정보보호 히스토그램의 동질성 검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검정 방법은 차등정보보호 히스토그램과 적용된 차등정보보호 수준 정보만 있을 때에도 사용 가능하며, 비교하고자 하는 두 히스토그램에 적용된 차등정보보호의 수준이 다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검정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의 연령별 인구분포 자료를 사용하고, 제 1종 오류의 확률이 잘 통제됨과 높은 검정력을 확인한다.
|
|
저자 : 김소진 ( Sojin Kim ) , 송종우 ( Jongwoo So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9-33 (1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SNS의 등장으로 인터넷 이용자들이 온라인에 남기는 텍스트의 양이 방대해지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특히 네이버의 영화 탭에서 볼 수 있는 영화 평점이나 리뷰는 실제로 관객들이 영화를 보기 전 해당 영화를 볼 것인지 결정하는 데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실제 네이버 영화 리뷰 데이터를 가지고 평점을 예측하는 분석을 수행했다. 영화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평점의 분포를 통해 데이터 특성을 살펴보았고, 텍스트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을 통한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수행했다. 또한 평점 예측에 활용할 모델 선택을 위해 2-Class와 multi-Class 문제들에 대해 머신러닝과 딥러닝, 회귀와 분류 분석을 비교했으며, 오분류의 원인을 영화 리뷰 데이터 특성과 연관시켜 서술했다.
|
|
저자 : 김양진 ( Yang-jin Kim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5-47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은 이항 반응 자료에 대한 마커의 분류 예측력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적용되어왔으며 최근에는 생존 분석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유형의 중도 절단과 원인 불명 등 다양한 종류의 결측 자료를 포함한 생존 자료 분석에서 마커의 사건 발생 여부에 대한 예측력을 판단하기 위해 기존의 통계량을 확장하였다. 생존 분석 자료는 각 시점에서의 사건 발생 여부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점마다 ROC 곡선과 AUC를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중도 절단과 경쟁 위험 모형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론과 관련 R 패키지를 소개하고 각 방법의 특성을 설명하고 비교하였으며 이를 검토하기 위해 간단한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프랑스에서 수집된 치매 자료의 마커 분석을 시행하였다.
|
|
저자 : 박민수 ( Minsu Park ) , 백창룡 ( Changryong Baek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9-62 (14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실현 변동성은 강한 종속성을 가짐이 잘 알려져 있으며, 글로벌 금융 시장과 유기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환율, 유가, 이자율 등의 거시적인 지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현 변동성의 효과적인 예측을 위해서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FAHAR (autoencoder factor-augmented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AE-FAHAR) 모형을 제안한다. AE-FAHAR 모형은 강한 종속성을 HAR 구조로 반영하고, 외부효과에 대한 영향을 오토인코더를 사용하여 몇 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이를 반영한다. 오토인코더는 비선형 방법으로 요인을 추정하기에 많은 계산 시간이 필요하지만 복잡하고 비정상성을 가질 수 있는 고차원 시계열 자료의 요약에 더 적합하다. 이는 곧 실증 자료 분석을 통해 AE-FAHAR 모형이 예측 오차를 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계산 시간을 줄이고 추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오토인코더에 사전학습 및 앙상블을 적용하는 등의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
저자 : 김문정 ( Moonjung Kim ) , 백창룡 ( Changryong Baek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3-75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논문은 Wang과 Samworth (2018)가 제안한 성근 프로젝션 방법을 개선하여 MOSUM을 이용하여 고차원의 시계열데이터에 존재하는 다중 평균 변화점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국소방법으로 다중 변화점을 동시에 찾을 수 있어 순차적 오류를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평균이 상쇄되는 경우에도 변화점을 추정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데이터 의존적인 방법으로 블록 와일드 붓스트랩 방법을 활용하여 임계점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S&P 500 지수를 구성하는 개별 기업들의 금융 자료에 적용하여 최근 6년간 네 번의 변화점을 찾았다.
|
|
저자 : 홍종선 ( Chong Sun Hong ) , 오세현 ( Se Hyeon Oh ) , 최예원 ( Ye Won Choi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7-91 (1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의학통계와 신용평가 분야에서 혼합분포함수를 판별하는 최적분류점 추정하기 위하여 판별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정확도 측도들이 존재한다. 최근에 혼동행렬 빈도수로 표현되는 Matthews의 상관계수와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평균인 F1 통계량의 정확도 측도들이 최적분류점을 추정하는데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정확도 측도들 중에서 표본크기에 의존하는 정확도 측도들은 두 표본크기 차이가 많은 경우에 최적분류점을 설정하는데 적절하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리고 대안적인 정확도 측도로 혼동행렬의 비율들의 함수인 상관계수를 정의하고, 이를 최대화하는 분류점을 최적분류점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의 유용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토론한다.
|
|
저자 : 신지원 ( Jiwon Shin ) , 신동완 ( Dong Wan Shin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93-104 (12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S&P 500과 RUSSELL 2000, DJIA, Nasdaq 100 4가지 미국 주가지수의 실현변동성(realized volatility, RV)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의 관심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인터넷 검색량(search volume, SV) 지수와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 IV)를 이용하여 LSTM 딥러닝(deep learning) 방법으로 RV의 예측력을 높이고자하였다. SV을 이용한 LSTM 방법의 실현변동성 예측력이 기존의 기본적인 vector autoregressive (VAR) 모형, vector error correction (VEC)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최근 제안된 RV와 IV의 공적분 관계를 이용한 vector error correction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VECHAR) 모형보다도 전반적으로 예측력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
|
저자 : 최숙희 ( Sookhee Choi ) , 한경수 ( Kyungsoo Han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5-117 (1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최근 전국 대학에서 교양 통계학을 배우는 학생이 크게 늘고 있다. 2022년 대학수능에서 수학영역의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은 53.2\%를 차지했다. 통계를 한 학기만 배우고 졸업하는 통계 비전공 학생들은 미래에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생산자보다 소비자로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통계 소비자가 배워야 할 것은 요리법처럼 각종의 통계 분석 기법이 아닌 통계적 문해력과 사고력이다. 이 논문은 통계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교양 통계학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한다.
|
|
저자 : 김준철 ( Jun Cheol Kim ) , 권숙희 ( Sookhee Kwon ) , 장대흥 ( Dae-heung Jang ) , 이근우 ( Kun Woo Rhee ) , 김영석 ( Young-seog Kim ) , 하일도 ( Il Do Ha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9-129 (11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최근 경주와 포항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며 발생한 지진의 규모를 과거자료에 근거한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역사지진 자료중에서 연단위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1392~1771년의 5년 블록 최대 규모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일반화 극단값(generalized extreme value) 확률분포에 기초한 극단값 이론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재현기간별 지진 규모 예측 및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화 극단값 분포의 모수추정을 위해 최대가능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과 L-적률추정법(L-moments estimation, LME)을 사용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 극단값 분포가 이러한 역사지진 자료에 대한 적절한 분석 모형이 될 수 있음을 적합도 검정(goodness-of-fit test)을 통해 보인다.
|
|
저자 : 이은희 ( Eun Hee Rhee ) , 황범석 ( Beom Seuk Hwang )
발행기관 : 한국통계학회
간행물 :
응용통계연구
35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31-146 (16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로지스틱 회귀 모형은 다양한 분야에서 범주형 종속 변수를 예측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모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지스틱 회귀 모형에 대한 전통적인 베이지안 추론 기법으로 메트로폴리스-헤이스팅스 알고리즘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수렴의 속도가 느리고 제안 분포에 대한 적절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 방법으로 Frühwirth-Schnatter와 Frühwirth (2007)에서 제안된 보조 혼합 샘플링(auxiliary mixture sampl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모형의 선형성과 정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두 단계에 거쳐 잠재변수를 도입하며, 결과적으로 깁스 샘플링을 통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한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20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당뇨병 자료에 적용하여 메트로폴리스-헤이스팅스를 사용한 모형과 추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류 모형들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형의 분류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모형이 분류 분석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