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이정애 ( Lee Jeong Ae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27 (23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공격성 관련 학술지 논문 253편에 대해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는 2006년 이후 두드러지기 시작하여 2011년 이후 최근 10년간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공격성의 유형,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 공격성 감소를 위한 방법적 노력을 다룬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어머니 관련 키워드가 유아 공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외 교사, 또래, 아버지 등의 인적변인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놀이, 프로그램, 치료, 신체활동 등 유아 공격성을 감소방법 키워드가 주요하게 출현하였으며 특히 놀이와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 공격성 감소 관련 군집, 공격성 관련 개인 내외 변인군집, 공격성 관련 대상 및 범주유형 군집 등 3개의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 공격성 관련 연구 방향의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253 papers from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infant aggression published from 1990 to May 2021 were selected and then keyword frequency analysis, keywor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UCINET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on aggression started to increase after 2006, and it was found that it increased rapidly in the last 10 years after 2011.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word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studies were being conducted on the type of aggression,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aggression and methodological efforts to reduce aggression. Next, looking at the results of network centrality analysi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mother-related keyword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ggression, and other human variables such as teachers, peers, and father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addition, keywords to reduce aggression such as play, program, treatment, and physical activity appeared as major keywords. In particular, play and program were found to be important keywords in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Finally, the CONCOR analysis of the research on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ree clusters were roughly formed, which were divided into clusters dealing with aggression reduction, a cluster related to major factors influencing aggression, and a cluster related to aggression-related subjects and category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above keyword network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ek diversification of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
|
저자 : 안부금 ( An Bu Geum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9-49 (21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현장의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사례 비디오 관찰에서 주목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예비교사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총 185개의 분석단위로 분할된 관찰지와 81개로 분할된 심층면담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주목하는 내용을 주체, 주제, 견지, 근거 차원으로 분석하였고 예비교사가 주목하는 대상과 이를 진술하는 경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사보다 유아에게 더 많이 주목했으며, 유아의 능력과 놀이의 가치보다는 유아의 특성과 놀이 장면에 더 많이 주목하였으며, 주목한 대상에 대해 평가 및 해석하는 진술보다 기술하는 진술이 많았으며, 주목한 대상에 대해 판단하는 근거로 유아의 유능성과 놀이를 통한 배움보다는 근거 없음이 주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성은 자신이 알고 있는 유아에 주목하기, 놀이의 외적 특성에 주목하기, 겉으로 드러나는 교사역할에 주목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주목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notice on the video observation of child and play-based curriculum running ca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were questioned on what they have noticed in observing child and play-based curriculum running case, and were asked to freely state their own views regarding the questions. If necessar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ethnographic interview metho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majo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id a close notice to the child,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play. In addition, wh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valuated the objects to which they had noticed, a number of description were presented, and rationales were suggested including child's thinking, and meaning of play.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
|
저자 : 송윤나 ( Song Yun-na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51-77 (27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Glasser 선택이론에 기반한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A유치원과 B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4명(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22명)이다. 실험집단은 Glasser 선택이론에 기반한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비교집단은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활동은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 중 지도성, 주도적 배려, 의사소통, 감정이입 및 조절, 도움주기, 접근시도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신체적 영역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야기 탐색과 이야기 꾸미기를 활용한 Glasser 선택이론 기반의 유아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forty-four 5-year-old young children attending A and B kindergartens in D city. Half of the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The comparison group practiced regular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particular, they were effective in order of leadership, leading caring, communication, empathy and control, helping, and approach attempts among the sub-domains of pro-social behavior. Second,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They were effective in order of the cognitive domain, the social·emotional domain, and the physical domain among the sub domains of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metho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using story exploration and story making activitie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
|
저자 : 류정희 ( Ryu Jung Hee ) , 김승희 ( Kim Seung Hee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9-103 (2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광주광역시 A 유치원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 유아 23명은 본 프로그램에, 비교집단 유아 23명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이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와 성평등 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본 연구는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유아의 성평등 의식이 효과적으로 향상하려면 체계적이고 다양한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지속해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earchers developed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5-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forty six 5-years-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mong those, twenty three children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other twenty three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eaningful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higher scor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ward decreasing young children'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show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ystematic and divers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
|
저자 : 임혜성 ( Im Haesung ) , 김윤희 ( Kim Yunhee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5-133 (29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유아교육정책 유형화를 통해 국제적인 맥락에서 한국 유아교육정책의 위상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OECD에서 발간한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24개국을 대상으로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 set ideal type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의 접근성, 공적비용, 구조적 질(교사 대 유아 비율)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8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은 접근성은 높으나, GDP 대비 유아교육·보육 기관에 지출한 공적비용의 비율과 구조적 질의 측면에서 둘 다 낮은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을 통해 이러한 유형은 GDP 대비 국공립기관에 지출한 공적비용의 비율이 낮고, 국공립기관의 비율이 낮아, 교육의 공공성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유형에 속한 국가들은 출산율과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낮았는데, 특히 한국은 최하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국 유아교육정책의 발전 방향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locate the statu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OECD countries using the typ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The data from OECD(2013) were utilized. The Fuzzy-Set Ideal Types analysis was employed to categorize the typ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This study used three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policies, such as accessibility, expenditur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to child ratio, to categorize eigh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The result showed that Korea has high accessibility but low expenditure, and low structural quality of education in terms of teacher to child ratio. The reason for the results may lie in the fact that Korea has low expenditure on public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a low enrollment rate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reover, the countries belonging in a similar type tended to have a low birth rate and low employment rate among females in their thirties.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were discussed.
|
|
저자 : 양유진 ( Yang Yujin ) , 오한나 ( Oh Hanna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35-159 (2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존 클라센의 그림책 모자 3부작인 『내 모자 어디 갔을까?』(I want my hat back), 『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This is not my hat), 『모자를 보았어』(We found a hat)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특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림책을 분석한 결과, 존 클라센의 그림책 모자 3부작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은 첫째, 전통과 관심의 붕괴로서 블랙코미디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이야기 결말의 개방성으로서 독자의 해석의 다양한 수용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각적 사고의 활용으로서 파라텍스트와 타이포그래피적인 특성의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을 이해하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다양한 접근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Jon Klassen's Hat Trilogy picture books, 'I want my hat back', 'This is not my hat' and 'We found a hat'. The analysis of these picture books revealed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in Jon Klassen's Hat Trilogy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of black comedy as the collapse of traditions and interest could be fou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ng readers' diverse interpretations with the openness of the story's conclusion could be found. Third, the effects of the paratext and typographic characteristics via utilization of visual thinking could be found.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and be applicable to postmodern picture book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
저자 : 최은주 ( Choi Eun Ju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61-191 (31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레인의 유아교육사상을 고찰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레인의 유아교육사상의 형성배경을 고찰하고, 그의 유아교육사상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레인의 저서 『Talks to Parents and Teachers』(1928)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논의한 문헌연구이다. 레인의 유아교육사상이 지니는 교육적 시사점은 유아는 자기 형성력을 지닌 자기 교육적 존재이며, 유아의 놀이권의 보장과 자발적 놀이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영적, 정신적 존재인 유아의 행복에 있다. 또한 교육자의 참다운 권위는 오직 사랑이며, 이러한 권위는 유아로부터 주어진다. 확고한 교육적 신념과 실천적 경험에 근거한 레인의 유아교육상은 유아를 발달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면서도 완전한 개별적, 인격적 존재로 이해하고, 유아교육의 목적으로서 행복과 그 방법적 원리로서 신뢰와 자유, 그리고 사랑에 근거한 교육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유아중심, 놀이중심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한국의 유아교육 현실에 의미 있는 시사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ane's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a and to reveal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Lane's 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 was first considered, hi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 was consider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method was mainly literature research, and after analyzing Lane's book Talks to Friends and Teachers(1928), it was discussed it wa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ane's id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are self-educational beings with self-forming power.
Second,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guaranteeing children's right to play and voluntary play.
Third,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the happiness of infants, who are spiritual and spiritual beings.
Fourth, the true authority of an educator is only love, and this authority is given from infants.
Lane's Early Childhood Education Award, based on firm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al experiences, has implications for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which understands infants from a developmental point of view but as complete individual and personal beings and insists on trust and freedom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
|
저자 : 문주혜 ( Mun Ju Hye ) , 동풀잎 ( Dong Pool Ip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93-216 (24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해군 가족이 어떠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그 어려움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본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는 C시에 영유아기 자녀를 둔 해군 가정의 학부모 16명과 반구조화면담을 실시하였다. 무엇보다 해군 가족들은 코로나19로 해군지침으로 가중되는 일상생활 한계들과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해군 아버지의 부재로 어머니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해군 가족 문화와 그 속에서 해군아버지는 해군으로서의 사명감과 부모로서의 자녀양육 사이에서의 딜레마를 겪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군인가족의 고유한 문화와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가족 친화적 군부대 문화조성과 군 내 일·가정 양립을 위한 군 관사 공동육아나눔터, 긴급돌봄센터, 군 어린이집 등 다양한 제도적,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해군과 해군가족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 본 연구결과는 해군과 해군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해군 가족, 군인 가족의 복지지원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Navy families raising young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or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parents (4 fathers serving in the Navy and 12 mothers of Navy families). All interviewees emphasized the challenges and fears they had experienced and attributed their increased burden of daily life and parenting to the Navy's strict COVID-19 guidelines. These hardships have compelled Navy families to call for a more realistic work-family reconciliation system that would enable them to balance work and parental responsibilities in an effective and timely manner. The families have also demanded a range of childcare support tailored to Navy families at both the Navy system and preschool education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in-depth insights into the unique traits and culture of the Navy and its families and can be used as underlying data to formulate relevant welfare assistance schemes for Navy families.
|
|
저자 : 이현숙 ( Lee Hyun-suk ) , 서현아 ( Seo Hyun-ah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17-241 (25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늦둥이 자녀 어머니의 역할지능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의 관계에서 부모공동양육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통해 전인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어머니의 역할지능 강화와 부모공동양육 확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및 B 지역에 거주하는 늦둥이 자녀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역할지능, 부모공동양육,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통하여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늦둥이 자녀 어머니의 역할지능과 부모공동양육은 정적 상관관계, 역할지능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늦둥이 자녀 어머니의 역할지능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동양육은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늦둥이 자녀 어머니의 역할지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부모공동양육을 높임으로써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joint parenting of both par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intelligence in mothers of a late child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thus preparing measures to reinforce mothers' role intelligence and expand joint parenting of parents to promote broader personal growth of infants based on their psychological health.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with 300 mothers with a late child in A and B regions on the role intelligence, joint parenting of both parents,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response results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intelligence in mothers of a late child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int parenting of both parents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joint parenting of both parents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Second, joint parenting of parents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intelligence in mothers of a late child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ir infants, thus having impacts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measures to increase the role intelligence in mothers of a late child and promotion of joint parenting of parent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infants.
|
|
저자 : 김민솔 ( Kim Minsol ) , 이효림 ( Lee Hyorim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간행물 :
유아교육연구
42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43-272 (30 pages)
|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
|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사용되는 유아교육과정 대학교재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반영된 교재 13권을 수집하여 분류체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대학교재의 내용은 크게 '유아교육과정 기초'와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유아교육과정 기초'에서는 '교육과정의 이해', '유아교육과정의 이해', '유아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이해'의 4개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유아교육과정 실행' 영역에는 '유아교육과정의 구성', '유아교육과정의 운영', '유아교육프로그램',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4개 대주제가 도출되어 총 8개의 대주제가 도출 되었다. 둘째, 각 주제별 비중과 세부주제별 내용은 교재마다 상이하였으며,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내용들이 누락되거나 타 교과와 중복된 내용의 비중이 높은 교재들도 일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교육과정'교과목의 교재 집필에 있어서 다른 교과목과의 중복성 검토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반영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versity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used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To this end, 13 textbooks includ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portal sites. internet bookstores, and publisher book searches. A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textboo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university material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areas: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ics' and 'Eff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ur major themes were developed from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ics':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oretical Basics', and 'Understanding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lso, 'Prepa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Education Program',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obtained from the area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stituting a total of eight major themes. Second, the weight of each topic and the content of each sub-topic were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nd there were some textbooks with a high proportion of contents that were either omitted or overlapped with other subje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overlap with other subjects in the training course and the direc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uch as strengthen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were discussed.
|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