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나 태양광 발전시설의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반이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에 의해서 약화되면서 발생되는 산사태, 토석류 등에 의해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반의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층의 구성상태, 역학적 특성등의 지반정보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조사부지가 대부분 급경사로 이루어지거나 진입로가 대부분 없기 때문에 지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추장비와 표준관입시험의 수행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화한 오거시추 장비와 자동낙하장치를 적용한 동적콘관입시험(Dinamic Cone Penetrometer, DCP) 장비를 개발하여 산지태양광 부지에서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콘저항값 및 동적콘관입시험값과 표준관입시험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콘저항값은 qc = 0.46 N, 동적콘관입시험값(Nd)는 Nd = 1.58 N으로 기존연구자들의 결과와 유사한 값을 확인하여 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Economic damage is occurring due to landslides and debris flows that occur when the ground artificially created for roads 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s weakened by rainfall such as torrential ra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bility of the artificially created ground,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the ground information such as the compositional stat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atum. However, since most of the investigation sites are steep slopes or there are no access roads, it is not easy to enter the drilling equipment commonly used to check ground information and perform standard penetration tests. In this study, a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DCP) device using a miniaturized auger drilling equipment and an automatic drop device was developed to check the cone resistance value and th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valu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value to confirm its applicability at the mountain solar power generation site. As a result, the cone resistance value is qd = 0.46 N and th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value is Nd = 1.58 N, confirming a value similar to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ers to secure its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