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시설물의 기초로 사용되고 있는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파괴 건전도 시험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파괴 건전도 시험은 내부 결함의 유무로만 기초의 안전성을 파악하며 결함의 위치 및 규모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뚝 기초 결함의 단면 특성을 추출하고 횡방향 지지력 및 단면력을 검토하는 BIM 연계 횡방향 지지력 해석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결함이 존재하는 현장타설말뚝 기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해석 결과, 상부에 존재하는 결함이 말뚝머리 변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결함에 의한 발생 휨모멘트 변화보다는 단면 축소로 인한 PM 상관도의 크기 감소가 부재 파괴의 위험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제안 방법은 현장타설말뚝의 입체적인 안전성 평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Nondestructive pile integrity tests are used to confirm the construction of drilled shafts as the foundation of many facilities. However, the safety of the founda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and the location and scale of defects are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nalysis model for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and section force connec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by extracting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fect in piles and reviewing the safety of piles with defects. Defects at the top of piles had more effect on the change in the deflection of the pile head. Moreover, the decrease in the axial force-bending moment interaction diagram due to cross-sectional reduction increased the risk of destruction of the piles more than the change in the bending moments due to defects. The proposed method can help review the comprehensive safety of p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