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학생들의 전공 간 협력과 이해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IPE(Interprofessional Education)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전문직 간 태도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IPE 교육 전·후 태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 밖에도 만족도 및 성찰일지 등을 통하여 수업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05였다. 결과: IPE 교육 전·후 보건의료인에게 요구되는 태도를 비교한 결과 다양성과 윤리 항목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이 내 의견과 다르더라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수용할 수 있다'에서 교육 전 4.53점에서 교육 후 4.87점으로 교육 전·후 점수 차이게 높게 나타났다(p=0.055). 결론: IPE 교육과정을 통해 보건계열 학생들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전문직 간 태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IPE 교육과정은 IPE 보건계열 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curriculum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health science students i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understanding. Methods: In this study, changes in attitudes before and after IPE training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rofessional Attitudes Scale. Additionall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and reflection journ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with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et at α=0.05.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ttitudes required of health care workers before and after IPE training, among the teamwork, roles, and responsibilities items, the statement, "Cooperative learning will help me think positively about other professions," scored 4.67 points before training and 4.93 points after training. Conclusion: Through the IPE curriculum, positive academic outcomes among health science students across various dimensions were demonstrated. Therefore, this IPE curriculum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in designing convergence-based health-related IPE curric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