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에서 출토된 금동보살입상에 대한 보존처리와 과학적 조사를 통하여 제작기법을 규명하고 유물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보살입상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 제거를 통해 존안(尊顔)에서 눈 및 수염의 검은색 선이 확인되었으며, 동체의 배면 폭치 내부로 7개의 채플릿과 광배꽂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영락장식은 목 뒤 천의(天衣) 자락 및 군의(裙衣)의 배면과 연결되며 두광은 3겹으로, 신광과는 핀으로 연결된다. X선과 CT조사 결과 양 팔에 주조 흔적이 발견되었고, 발쪽으로 용탕을 부어 보살입상의 하단에 다량의 기포가 생성되어 물리적으로 취약하다. 정병은 통주물로 제작되었으며 대좌는 상대의 앙련과 중대, 복련이 따로 제작되어 도금한 이후 끼워 제작되었다. 보살입상의 발바닥에 위치한 촉은 대좌에 결합 후 양측으로 벌려 고정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보살 입상 및 영락, 대좌는 대부분 구리로 주조되었으며 금분과 수은을 이용한 아말감 도금 후 광쇠질로 표면을 정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보물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은 보살입상, 대좌, 영락, 보관, 광배, 정병 등 다양한 장식적 요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각 부분을 별도로 제작한 별주식으로 완성한 통일신라시대의 출토사례가 드문 유물이다.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연구를 통하여 당대 불교문화유산의 기술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rough Conservation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Excavated from Seollimwonji temple site, the production method was identifi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to be known. The cleaning of the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revealed blck lines of eyes and beard on the face, Seven Chaplets and aureole fixtures were found in the hole in the back. The neck ornaments is connected to the hem of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back of the skirt, The Halo are three layers, and the aureole are pinned. As a result of X-ray and CT investigation, there were holes in both arms due to casting. and It is physically vulnerable because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produced at the bottom of the Standing Bodhisattva by pouring molten metal toward the foot. The Kundika was made by casting them all at once, The throne were made by casting each part separately, plating it, and assembling it. The pin under the sole of the Standing Bodhisattva was fixed by opening it to both sides after binding to the thron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urvey, Standing Bodhisattva, neck ornaments and throne were mostly cast with copper. and It is a rare case of excavation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which was produced and assembled separatel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echnical research on Buddhist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Conservation and production techniqu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