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 내용 영역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reas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이민혜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5대 내용 영역(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선택, 기술적 문제해결과 혁신,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에 대해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이해도, 중요도, 선호도, 자신감을 중심으로 인식 수준과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과 교과의 실행은 교사의 인식에 의해 좌우되며, 이는 교육과정 수용과 수업 설계, 교육 실천의 기반이 된다는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를 위해 2024년 8월 전국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87명의 유효 응답을 바탕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 영역에 대해 인지적·정의적 인식 모두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보였다. 이는 디지털 기반 사회로의 전환 흐름에 따라 해당 영역이 교사들에게시의성과 중요성을 지닌 교육 내용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반면,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등 전통적인 생활 중심 영역은 비교적 낮은 이해도와 선호도를 보였으며, 중요도인식 역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실과 교육과정 내 내용 구성의 균형성과 재구조화 필요성을 시사하며, 전통적 영역에 대한 교사의 관심 유도를 위한 교수자료 개발과 연수 강화가 요구된다. 특히4가지 인식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해도와 자신감 간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교사의 인지적 전문성이 교수 실행 역량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요도 인식이높을수록 선호도와 자신감도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교육 내용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교사가 해당 내용을 수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적 동기와 자신감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초등 실과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과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교사 인식의 네 가지 요소 간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 고려가 실과교육의 질적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에 핵심적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cusing on four key factors: understanding, perceived importance, preference, and teaching confidence across the five core content areas—Human Development and Proactive Lif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and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is subject is largely influenced by teachers’ perceptions, which serve as a foundation for curriculum acceptance, instructional plann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understanding these perceptions holds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in August 2024. A total of 287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rated the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omain the highest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imensions. This reflects the growing relevance of digital literacy and technological competencies in education in response to societal transformation. In contrast, traditional life-centered areas such as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and “Human Development and Proactive Life” were perceived with lower levels of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and somewhat lower perceived importance.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restructure and balance curriculum content while providing teaching materials and training to revitalize interest in traditional domains. Furthermor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four perception factor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and teaching confidence was the strongest. This confirms that a teacher’s cognitive expertis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ir ability and willingness to teach a particular topic. Higher perceived importan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reference and confidence, implying that teachers who value certain content are more motivated and confident to implement it in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elementa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holistic approach that considers the interaction among the four perception elements. Such an approach is essential for strategic planning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and practicality of curriculum delive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