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충북방언 연구
A Study on The Chungbuk Dialect in Oh, Jang-Hwan’s Poems
조해옥
한국시학연구 권 81호 249-295(47pages)
DOI http://dx.doi.org/10.15705/kopoet..81.202504.008

본고에서는 첫째, 오장환 시에 나타난 충북방언을 목록화하여 오장환 시문체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였다. 둘째, 오장환의 시에서 시적 화자의 직업과 현실과 연령 등에 어울리는 방언들이 선택적으로 수용되었음을 밝혔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충북방언을 목록화한 결과, 시에서 모음변화 빈도 1 위를 차지하는 ‘ㅏ>ㅓ’와 2위를 차지하는 ‘ㅓ>ㅡ’는 충북방언이 포함된 중부방언의 일반적인 특징이며, 오장환 시의 문체와 어감의 기저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크고 무거운 어감을 가진 이들 모음변화는 오장환 시에서 절망과 허무감의 정조를 강화시키는 요소로 나타난다. 이밖에 담화 상황에서 실현되기 쉬운 고모음화 ‘ㅗ>ㅜ’는 오장환의 동시에서 발견되는 모음변화이다. 오장환이 시적 화자의 연령과 위상과 현실에 어울리는 방언들을 선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장환 시에서 시적 화자는 ‘船夫’의 직업을 갖고 있기도 하고 외로운 行旅者이기도 하고 퇴폐적이고 퇴락한 항구 도시를 삶의 터전으로 하여 살아가는 사람들로 나타난다. 오장환은 시적 화자의 현실과 자조적 인식이 ‘뼉다귀, 발꾸락, 뿔다구, 쥐정꾼, 어메, 곰팽이, 배창수, 흥겁오랙이처름’ 등의 생활언어를 통해 생생하게 드러낸다. 오장환 동시의 경우에는 어린 화자가 대상들에 가지는 경계 없는 ‘친밀감’을 표현하기 위해 오장환은 구어성이 강한 고모음화 ‘ㅗ>ㅜ’를 사용하고 있다.

In this paper, first, Chungbuk Dialects that appear in Oh Jang-Hwan’s poems were cataloged to perform basic work for studying Oh Jang-Hwan’s poetic styl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dialects that matched the occupation, reality, and age of the poetic speaker were selectively accepted in Oh Jang-Hwan’s poems. As a result of listing examples of the Chungbuk Dialect in Oh Jang-Hwan’s poems, ‘ㅏ>ㅓ’, which ranks first in the frequency of vowel changes, and ‘ㅓ>ㅡ’, which ranks second,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Dialect that includes the Chungbuk Dialect, and they form the basis of the poetic style and tone in Oh Jang-Hwan’s poems. These vowel changes with large and heavy nuances reinforce the sentiment of despair and futility in Oh Jang-Hwan’s poems. In addition, the high vowel change ‘ㅗ>ㅜ’, which is easy to realize in a conversational situation, appears in Oh Jang-Hwan’s children’s poems. The results of Oh Jang-Hwan’s selection of dialects that fit the age, status, and reality of the poetic speaker are as follows. In Oh Jang-Hwan’s poems, the poetic speaker is depicted as having the occupation of a ‘shipman’, a lonely traveler, or someone who lives in a decadent and run-down port city as their base of life. Oh Jang-Hwan reveals vividly the reality and self-deprecating awareness of the poetic speaker through everyday language such as ‘뼉다귀, 발꾸락, 뿔다구, 쥐정꾼, 어메, 곰팽이, 배창수, 흥겁오래이처름’. In the case of Oh Jang-Hwan’s children’s poems, Oh Jang-Hwan uses the colloquial high vowel formation ‘ㅗ>ㅜ’ to express the boundaryless ‘intimacy’ that the young speaker has with the objec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