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대법원 2025. 3. 20. 선고 2023도10405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해설이다. 대상판결에서는 결과적 가중범인 특수강간치상죄의 기본 범죄인 특수강간죄가 미수에 그친 경우 이를 미수 감경의 대상이 되는 미수범, 즉 특수강간치상죄의 미수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 되었다.
대상판결의 쟁점에 관한 직접적인 검토에 앞서, 먼저 형벌법규의 해석 및 미수범 규정의 해석에 관한 전제논의로서 형법상 책임원칙, 미수범의 처벌 근거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지금까지 판례가 견지해 왔던 형벌법규의 해석 원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특수강간치상죄의 해석론과 관련하여 입법자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필수적 과정으로 특수강간치상죄의 입법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비교법적 착안을 얻기 위해 영미법상 자비의 규칙에 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대상판결에서 문제가 된 결과적 가중범으로 들어와서, 결과적 가중범의 개념이나 독일을 중심으로 연혁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그 해석론과 관련하여 구성요건요소 등과 같은 일반론에 관하여 국내외의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걸음 더 들어가 이 사건 쟁점인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와 관련하여 먼저 논의 범위를 확정한 다음, 이 사건 쟁점에 관한 국내의 견해와 기존 선례를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전제 논의 후에는 이 사건 쟁점에 관하여 특수강간치상죄의 미수를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견해 대립을 상정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미수 긍정설과 부정설의 입장에서 취할 수 있는 각각의 논거와 각 견해에 대하여 제기 가능한 비판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이 어떠한 견해를 채택하였는지와, 그 각 견해에 따른 결론을 살펴보았고, 대상판결이 갖고 있는 의의를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is a commentary on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23Do10405 decided March 20, 2025.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the question of whether in a case where aggravated rape, which is an underlying offense of the crime of aggravated rape resulting in bodily injury, a result-enhanced crime, failed in attempt, whether it can be seen as attempted aggravated rape resulting in bodily injury subject to lesser punishment.
Before advancing to direct examination of the point at issue in the subject case, this Article examines nulla poena sine culpa (the guilt principle) and the grounds for punishing attempts of crime as a premise for the interpretation of criminal provisions and provisions regarding attempts. Then it moves to examine th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of criminal provisions that judicial precedents have maintained thus far. Lastly,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crime of aggravated rape resulting in bodily injury as a prerequisite for ascertaining the legislative intent in developing the interpretation thereof and also examines the rule of lenity in Anglo-American law to gain comparative legal insight.
Next, this Article proceeds to examine the concept of result-enhanced crimes and the chronological history of its change mainly in light of the legislative history of Germany, and investigates discussions at home and abroad with respect to general interpret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result-enhanced crimes. Moving forward, regarding attempts of result-enhanced crimes, which is also the point at issue in the subject case, the scope of relevant discussions has been determined and the views and existing precedents relevant thereto in the Korean context have been introduced.
This Article then posits the contradictory positions as to whether attempts of the crime of aggravated rape resulting in bodily injury can be recognized, developing an overarching examination of each rationale offered by an affirmative position, which recognizes attempts of the crime of aggravated rape resulting in bodily injury, and a negative position, and possible criticisms of each view.
Lastly, this Article inspects which position has been assumed by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in the subject case and the conclusions reached by each opinion, and state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