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친족 호칭어가 매개하는 K-pop 아이돌과 팬덤의 관계 짓기 양상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K-pop Idol and Fandom Mediated by Kinship Terms
변하연, 윤유정
대중서사연구 31권 2호 361-398(38pages)

이 글은 2000~2010년대 K-pop 아이돌 노래 가사에서 나타나는 친족 호칭어에 주목하여, 곡 내에서의 친족 호칭어 사용이 가수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수용자의 향유 방식을 결정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이는 아이돌과 팬덤 사이의 특정한 관계 맺기 양상과 깊게 관련되는바, 빈번히 사용되는 친족 호칭어인 ‘오빠’와 ‘누나’를 두 축으로 하여 K-pop 장을 들여다보는 데에 목표를 둔다. 소녀시대는 ‘오빠’를 다분히 성애적인 뉘앙스로 호명한다. 이에 호응하여 소녀시대에 열광하는 남성 대중은 소녀의 애정을 받아주지 않는 곡 내부의 ‘오빠’가 아닌, ‘삼촌’이라는 (유사) 가족의 표상을 통해 은밀한 방식으로 소녀시대의 섹슈얼리티를 소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녀시대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계승하여 ‘국민 여동생’이라는 표상을 내세웠던 아이유는 2010년대 중후반을 거치면서 소녀-국민 여동생의 자리에서 빠져나와 성인 여성-아티스트로 자리매김한다. 한편 ‘오빠-소녀(팬)’의 구도를 적극 활용한 god와 슈퍼주니어의 사례는 1, 2세대 남성 아이돌의 ‘오빠’ 자칭 전략이 팬들에게 문제없이 수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3세대 아이돌에 해당하는 방탄소년단은 페미니즘 리부트를 기점으로 ‘오빠-소녀(팬)’라는 젠더 위계에 대한 재사유를 요청받는다. 그런가 하면 샤이니와 틴탑은 ‘오빠-소녀(팬)’의 구도를 역전시켜 ‘누나’를 호명하는 연하남의 이미지를 내세웠다. 이때 틴탑과는 다르게 성애적 욕망이 탈색된 ‘누나’의 표상을 제시한 샤이니는 성공적으로 ‘누나’ 팬덤을 구축할 수 있었다. 오늘날 K-pop에서 ‘오빠’나 ‘누나’와 같은 친족 호칭어의 직접적인 사용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그 자리는 이제 아이돌의 ‘어머니’를 자임하는 양육형 팬덤이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수동적인 수용자의 자리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요구하고 나선다. K-pop 장에서 친족 호칭어에 기반한 이성애적 관계 짓기 양상이 줄어든 것은 이들의 등장과 맞물려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kinship terms in K-pop lyrics, focusing on how they construct idol identities and shape fandom engagement. Centering on the terms “oppa” and “noona”, it explores how these expressions mediate gendered relationship dynamics between idols and fans. Girls’ Generation utilized “oppa” with a sexual nuance, allowing male fans to consume their sexuality through the quasi-familial figure of the “samchon” (uncle). IU actively inherited Girls’ Generation’s strategy by presenting the image of the “Nation’s little sister”. However, she succeeded in going out of that position and establishing herself as a female artist since the late 2010s. 1st and 2nd generation of K-pop male idols like god and Super Junior adopted “oppa” as a self-designation, which was readily accepted by fangirls. In contrast, BTS faced calls to reconsider the gender hierarchy of the “oppa-(fan)girl” dynamic amid the feminism reboot in Korea. On the other hand, SHINee and Teen Top reversed this dynamic by invoking “noona”. SHINee could foster a strong “noona” fandom by offering a desexualized “noona” image unlike Teen Top’s. Today, direct reference of kinship terms within lyrics has declined with the arrival of nurturing fandoms self-identified as idols’ “mother”, reflecting a shift away from heteronormative relationship frameworks in K-pop sce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