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공교육정상화법) 제정과 관련된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obb, Ross & Ross(1976)의 정책의제 형성 모형을 적용하여 외부 주도형, 동원형, 내부 접근형의 세 가지 관점에서 공교육정상화법 및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의제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이해관계자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해관계자는 공통의 사안에 대해 각자의 입장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정부(감시자), 사교육기관(공급자), 학생 및 학부모(수요자), 그리고 시민단체를 주요 이해관계자로 설정하고, 각 집단의 반응과 의제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의 사교육비 경감정책은 지속적으로 변형된 대응을 초래했으며, 특정 시민단체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정책의 방향성과 신뢰성이 심각하게 저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사교육을 교육체계의 보완적 요소로 인식하고, 실질적 수요와 시장원리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또한, 공교육 정상화는 사교육 억제가 아닌 공교육 자체의 개혁을 통해 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형성과 집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해 관계자들의 역학 관계를 바탕으로, 향후 더욱더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적, 정책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gulation of Prior Learning" and to propose realistic policies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agenda-setting process of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ct and policies aimed at reducing private tutoring costs. Employing Cobb, Ross & Ross's (1976) classification model, the study categorizes policy agenda formation into three types: outside initiative, mobilization, and inside access.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reveals a paucity of research addressing stakeholders' perspectives on the formation, implementation, and impact of private tutoring cost reduction policies. This study identifies four key stakeholders: the government as a regulator,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as suppliers, students and parents as consumers, and civic organizations.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research analyzes the responses of each stakeholder group and their influence on agenda formation.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mitigate private tutoring and its associated costs. However, these policies have often resulted in adaptive responses from students, parents, and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By uncritically adopting proposals from certain civic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has compromised its policy direction, thereby diminishing its own policy credibility.
The study concludes that policies aimed solely at reducing private tutoring, without considering fundamental market principles of supply and demand, are destined to fail. It suggests recognizing private tutoring as a complementary component of the overall educational system. Furthermore,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suppressing private education but rather on reforming public education itself through intrinsic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