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문학 작품들 가운데 길가메시 서사시는 그 형성 역사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현대인들에게 가장 먼저 알려진 후기 버전 혹은 표준 버전은 기원전 7세기의 것이지만, 그것의 원형은 고바빌론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렇다면 길가메시 서사시의 고바빌론 버전은 어떻게 저작되었을까? 수메르어로 쓰여진 길가메시 사본들이 알려지기 전부터 학자들은 길가메시 서사시의 기원이 수메르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20세기 초에 수메르어로 된 길가메시 단편들이 출판되면서 길가메시 서사시와 수메르 단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많은 학자들이 수메르 단편들이 아카드 서사시의 ‘자료’가 된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수메르 단편들을 하나로 묶은 수메르 서사시의 존재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런 학자들의 합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메르어로 된 길가메시 서사시의 존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메르 서사시의 존재를 부정하는 학자들이 제시하는 증거들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하는 한편, 길가메시 서사시 내에 숨어 있는 수메르 서사시의 흔적들에 대한 빙(Bing)의 연구도 소개한다. 예를 들어, 수메르 단편의 독립성에 대한 증거로 제시된 송영적 결말은 구술 공연의 끝을 가리킬 뿐 그 이야기가 더큰 서사의 일부일 가능성마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빙에 따르면,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타나는 신학적 혹은 주제적 모순들은 수메르 서사시의 흔적에 대한 힌트가 된다. 이상의 논의는 우룩 3시대에 수메르 서사시가 적어도 구전의 형태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메르 문학의 기원이 구전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수메르 서전이 구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승되었음을 확실하기 때문에 길가메시 수메르 단편들에 대해서도 그것과 상호 작용하는 구전의 존재를 상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Among the literary works of ancient Mesopotamia, the Epic of Gilgamesh is the one whose formative history is best traced. The earliest known ‘later’ or ‘canonical’ version dates from the 7th century BC, but its prototype can be traced back to the Old Babylonian period. So how did the Old Babylonian version of the Epic of Gilgamesh come to be written? Even before Sumerian manuscripts of the Epic of Gilgamesh were known, scholars believed that its origins could be traced back to Sumerian times. In fact, the publication of Sumerian fragments of the Epic of Gilgamesh in the early 20th century spurred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pic of Gilgamesh and the Sumerian fragments. While many scholars agree that the Sumerian fragments serve as the "source material" for the Akkadian epic, they are skeptical about the existence of a Sumerian epic that utilizes the Sumerian poems of Gilgamesh.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at consensu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Sumerian version of the Epic of Gilgamesh. To this end, I will presen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evidence presented by scholars who deny the existence of the Sumerian epic, as well as Bing's research on the traces of the Sumerian epic hidden within the Gilgamesh epic. For example, the hymnic ending, which has been presented as evidence for the independence of the Sumerian fragment, points to the end of an oral performance and does not negate the possibility that the story is part of a larger narrative. Also, according to Bing, the theological and thematic contradictions in the Gilgamesh epic hint at traces of the Sumerian epic. The above discussion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hat Sumerian epics existed, at least in oral form, during the Third Dynasty of Uruk. While the oral origins of Sumerian literature are debatable, it is clear that the Sumerian epics were transmitt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oral tradition, so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e existence of a Sumerian epic, at least in an oral form, underlying Sumerian poems featuring Gilgam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