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1950-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와 ‘반공’의 접촉
Korean Comedy Films and “Anti-Communism” in the 1950s and 1960s
윤유정

이 글은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가 뿌리내리기 시작한 1950-60년대에 ‘반공’의 코드와 자주 접촉하였던 코미디영화를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작품을 검토함으로써 이 시기 ‘반공적’ 코미디영화의 정치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시기 ‘반공’을 끌어들였던 코미디영화는 반공주의의 선전과 계몽적 메시지를 담지하는 동시에 그것을 형해화하는 징후를 드러낸다. 이는 특히 이 시기 코미디영화가 결말부 이들을 건전한 주체로 변모시키는 갑작스러운 통합의 과정에서 선명해진다. 1950-60년대 ‘반공적’ 코미디영화는 그 주된 내용에 따라 크게 1)훈련소 영화, 2)군대 영화, 3)방첩 영화, 4)첩보 영화로 분류할 수 있다. 반공병영사회를 살아가는 남성들의 군인 되기를 그려내고 있는 훈련소 영화와 군대 영화는 갑작스러운 성취를 통해 이들의 강인한 남성성을 강조하면서도 반공병영사회의 군인 되기가 종료되는 지점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일상에서 간첩을 마주해 이들을 검거하는 방첩 서사는 ‘국시’로서의 반공을 자본 획득의 기회로 변모시킴과 동시에 공산진영과 대비되는 자본주의의 체제 논리를 과시하고자 한다. 유약한 남성들이 손쉽게 ‘승공’을 이루어내는 첩보 코미디영화의 경우, ‘반공’에 가로놓인 위기의식과 심각성을 탈색시키는 데에 그친다.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작동하였던 이 시기 코미디영화 결말부에 돌출된 ‘반공’은, 대중에게 ‘자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따분한 배경 소음으로 전락해갔다. 이 시기 코미디영화에서 ‘반공’이 점차적으로 형해화되어갔던 과정은, 순응과 저항을 넘어서는 또 다른 균열의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tics of ‘anti-communist’ comedy films in the 1950s and 1960s,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formative years of anti-communism, by examining specific works that frequently engaged with ‘anti-communist’ codes. Studies of comedy films from this period have tended to oscillate between ambivalent interpretations of conformity and resistance. However, comedy films that attracted ‘anti-communist’ audiences during this period show signs of both embodying anti-communist propaganda and enlightenment messages, as well as transforming them. This is especially evident in the sudden process of integration that the comedies of this period undergo at the end, when they transform their characters into wholesome subjects. The “anti-communist” comedies of the 1950s and 1960s can be broad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main content: 1) training camp films, 2) military films, 3) counter intelligence films, and 4) espionage films. Training camp films and military films, which depict men becoming soldiers in an anti-communist society, emphasize their militaristic masculinity through sudden achievements, while also illustrating the point at which becoming a soldier in an anti-communist society ends. In addition, the counterintelligence narrative of encountering and apprehending spies in everyday life transforms anti-communism as a ‘counter intelligence’ into an opportunity for capital acquisition, while also showing off the systemic logic of capitalism in contrast to the communist camp. In the case of espionage comedies, in which vulnerable men easily achieve ‘defeating communism’, the sense of crisis and seriousness of the ‘anti-communist’ movement is tarnished. In this way, the ‘anti-communist’ message of comedy films during this period, which gradually diluted its political power, shows signs of casting public desensitization and naturalizing anti-commun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