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사례 중심의 손상코드 별 손상외인코드 빈도수 분석에 따른 손상코드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Injury Codes by Case-Based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Frequency Analysis
최은미, 진혜은, 정진형
DOI KISTI1.1003/JNL.JAKO202313957626890

본 연구에서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A기관의 2020년, 2021년의 2년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를 손상 코드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연도별 발생인원이 많은 손상코드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손상외인코드를 분석하였다. 손상외인 코드의 빈도수를 분석하여 손상코드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손상코드 S0650는 손상외인코드 W189, X5999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상세불명의 장소 또는 화장실에서 넘어졌을 때 열린 두개 내 상처 없는 외상성 경막하 출혈의 원인으로 판단하였다. 손상코드 S72120는 손상외인코드 W010, W180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으며, 주거지에서 넘어질 때 발생하는 폐쇄성 대퇴골전자간 골절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손상코드 S32090은 X5999의 빈도수가 많았으며, 상세불명의 장소에서 노출에 의한 사고로 요추 부위의 폐쇄성 골절의 원인 되는 것으로 분석 하였으며, 손상코드 S72.090에서 발생되는 손상외인 코드는 W010, W180의 빈도수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주로 주거지에서 미끄러지거나 헛디딤으로 인해 대퇴골 경부의 폐쇄성 골절의 원인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손상코드 S0220은 Y049의 손상외인코드의 빈도수가 높았으며, 주로 완력 또는 주먹에 의해 비골이 골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손상코드 별 손상외인코드의 빈도수를 분석하여 손상코드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ients hospitalized with damage by injury code based on data for two years in 2020 and 2021 of A institution located in Gangneung, Gangwon-do. Analyzed the injury codes with a large number of occurrences per year, and analyzed the injury codes of external causes accordingly. The cause of the injury code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Injury code S0650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W189 and X5999, which was judged to be the cause of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without open intracranial wounds when falling in an unspecified place or toilet. Injury code S72120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W010 and W180, and it was judged to be the cause of obstructiv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at occurs when falling in the residence. The injury code S32090 had a high frequency of X5999, and it was analyzed that it caused the obstructive fracture of the lumbar region due to an accident caused by exposure in an unspecified place, and the injury code S72.090 had a high frequency of W010 and W180. It was confirmed that the cause of the obstructive fracture of the femoral neck was mainly caused by slipping or slipping in the residence, and the injury code S0220 had a high frequency of the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Y049,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bula was fractured mainly by the force or fist. As such, the cause of the injury code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njury code for each injury code of external caus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