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9
216.73.216.169
close menu
KCI 등재
일계성 딸기 과실의 부위에 따른 바이오 활성 화합물 함량 비교
Kim, Sung-Kyeom, Bae, Ro-Na, Hwang, Hyun-Seung, Kim, Moo-Jung, Sung, Hye-Ryeong, Chun, Chang-Hoo

'매향', '설향', '금향', '아키히메'와 '레드펄' 딸기 과실 부위에서 환원당, 유기산, 아스코르빈산, 안토시아닌 및 엘라직산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환원당, 유기산, 아스코르빈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딸기 표피에서 다른 부위의 함량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엘라직산의 함량은 딸기 수과에서 높았다. '매향' 딸기의 표피 및 과육에서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각각 69.2와 $42.2mg{\cdot}100g^{-1}$ FW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금향' 딸기의 표피 및 수과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74.0mg{\cdot}100g^{-1}$ FW과 $36.7mg{\cdot}100g^{-1}$ DW으로 타 품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설향' 딸기 수과에서 엘라직산의 함량은 $215.5mg{\cdot}100g^{-1}$ DW로 타 품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딸기 과실의 부위에 따라 바이오 활성 화합물들의 함량은 크게 차이가 있었으며 '매향', '설향' 및 '금향' 딸기 품종은 바이오 활성 화합물들의 함량이 높아 소비자들에게는 고품질 딸기로 인식될 수 있어 국내 육성 품종 딸기의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기초적 결과들은 딸기 가공 분야 및 영양학 연구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