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건설 프로젝트들이 점점 대형화·복잡화됨에 따라 건설업의 재해율은 타 산업들과 반대로 꾸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향상된 건설 기술력에 비해 건설업 종사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에 관한 기술력은 미흡하다는 증표로 볼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중심기반으로 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대다수의 재해는 인적오류에 의한 떨어짐, 넘어짐 등의 재래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특성과 재해와의 관계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안전계획 수립에 반영하는 것은 건설업의 인적오류 재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발생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3년간의 건설업 재해사례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위 10종의 재해 발생형태를 대상으로 연령과 재해 발생형태별 빈도 및 강도의 관계성을 도출하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Currently, as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the hazard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contrary to other industries. This can be seen as an indication that the safety technology and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worker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roved construction technology.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manpower, most accidents appear in conventional forms such as fall and trip due to human errors. Therefor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and accidents and establishing detailed safety plans is an essential part of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In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62,805 cases of construction accident cases over 3 year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 occurrence focusing on the age of work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worker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accidents for each accident typ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top 10 acciden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