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기 경계선 장애가 증상의 연속성을 가지고 경계선 성격장애로 악화될 수 있다는 관점하에, 아동기 경계선 장애의 호전을 위한 조기개입을 모색하였다. 문헌연구 방식에 따라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경계선 장애 및 경계선 성격장애를 검색어로 적용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기 경계선 장애와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간에 증상의 연속성, 치료목표 및 치료방법의 연관성이 탐색되었다. 이를 통해 경계선 성격장애의 치료적 접근 중 효과성이 검증된 치료기법을 차용하고 아동기의 차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아동기 경계선 장애의 호전을 위해 ‘가족 대상의 정신화 기반 가족놀이치료’를 조기개입으로 제안하였다. 제언으로 경계선 장애아동 가족의 정신화 증진을 위한 효과적 상호작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early intervention to improve childhood borderline disorder with the view that childhood borderline disorder can worsen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continuity of symptom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compared related data by applying search terms to childhood borderline disorder and adult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Results: There is a continuity between symptoms of childhood borderline disorder and adult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oreover, literatur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goals and treatment methods of childhood borderline disorder and adult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re also highly related. Reflecting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amily play therapy based on MBT is useful as an early intervention method for borderline disorders in childhood.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the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of borderline disorder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ntalization ability of children and families as a whole be increased and healthy family restructuring purs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