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아리랑 특별전
Exhibiting Arirang
이건욱
DOI http://dx.doi.org/10.35638/ijih.2012..7.015

아리랑은 한국의 전통 민요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리랑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한국인들의 삶과 생활을 담은 일종의 문화현상이다. 매우일상적인 아리랑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또한 무형유산에 대한 전시 방식을 실험해 보기 위해 국립민속박물관은 아리랑특별전을 기획하였다. 전시에는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와 생활 자료들이 출품되었으며, 음원또한 소개된다. 음원은 전문적인 가수가 부른 것뿐만 아니라 대한민국각지에 살고 있는 일반인들이 직접 부른 아리랑을 채록하여 전시에 소개하였다. 또한 아리랑에 대한 의미, 개인적인 사연 등도 영상으로 편집하여 전시에 활용하였다. 아울러 전시 자료 수집에 협조한 일반인들을 초청하여 전시장 내에서 공연을 진행했다. 특히 삶의 순간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개인적인 경험들을 아리랑 가사로 풀어낸 일반인들의 공연은 관람객들로부터 매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무형유산과 그 유산을 전승하는 집단이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자료들을 활용해 향후 신화 등 관념적인 민속 현상에 대한 전시 기법을 경험했다는 것에 이 전시의 의의를 둘 수 있겠다.

Arirang is best known as a type of Korean folk song. But it is more than just a simple folk song. It is a kind of cultural phenomenon that embodies people’s lives and everyday activities.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cently curated a special exhibition about Arirang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is song which so many Koreans take for granted. In the exhibition we presented both historical materials and everyday products related to Arirang, and we also introduced sound resources. These were not only recordings of the songs performed by professional singers, but also recordings of Arirang songs sung by ordinary people, documented region by region. We collected personal stories and accounts of what Arirang means, and these too were edited into audio-visual forms to be exhibited. Certain regional groups that co-operated in collecting materials for the exhibition were invited to give performances themselves. The performances by people who put their own experiences into the Arirang lyrics were especially popular with audiences. The exhibition was important for the future in that we gained new experience in utilising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possessed by communities which are transmitting a certain kind of intangible herit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