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바빙크(1854-1921)에 따르면, 근대 사상과 신학은 신앙과 지식의 관계가 방법론과 관련될 때 신앙의 명제적, 경험적 혹은 윤리적 측면들 중에서 어느 한 측면을 강조하여 신앙과 지식을 분리시켜 왔다. 이러한 경향은 근대 이후로 자연법과 자율성의 원리에 따라 기적과 초자연적 실재를 거부하고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는 것을 그 배경으로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빙크의 “기독교”(Het Christendom)에서 발견되는 기독교의 객관적, 주관적 그리고 적용적 요소들과 그의 『개혁 교의학』 에서의 특별계시의 역사적, 유기적, 전인격적 그리고 구원론적 측면들을 통합하여 그리스도의 신성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특별계시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는 표준들(norms)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바빙크의 이 표준들은 관련된 논의에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즉, 신학적 작업에 참여하거나 설교를 준비할 때 관련된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자신이 다루고 있는 주제를 보다 적합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믿음과 지식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배경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의 중요성과 초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중보자의 보편성이 그 중심에 있는 기독론적 연합을 통합적 관점을 위한 토대로 제시한다. 이로부터, 바빙크에게서, 비록 초자연적 세계관이 이원론적 측면을 분명히 포함하고 있지만, 모든 대립되는 요소들이 기독론적 연합 안에서 통합됨이 논증된다.
Herman Bavinck (1854-1921) argues that modern thought and theology are prone to separate faith from knowledge by emphasizing one aspect of faith among the propositional, empirical, or ethical aspect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knowledge is related to a methodology. This tendency has its roots in the rejection of supernatural reality and miracles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s of natural law and autonomy, eventually leading to the denial of Christ's deity. This paper aims to provide Bavinck's norms for an integrative view on faith and knowledge of the deity of Christ and special revelation based on that by synthesizing the objective, subjective and applicable elements of Christianity found in Bavinck's “Het Christendom” and the historical, organic, whole-person and soteriological aspects of special revelation found in his Reformed Dogmatics. Bavinck's norms provide significant insight into a relevant discussion; when participating in a theological enterprise or preparing a sermon, the norms make one more properly see what one is engaged i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ll relevant issues. As the background for an integrative view on faith and knowledge of Christ's deity, the significance of Christ's deity and the necessity of a supernaturalistic worldview are discussed, while Christological unity is viewed as the foundation for such an understanding. From both perspectives, I demonstrate how, although the supernaturalistic worldview appears to have dualistic elements, all the opposing elements are united in Christological unity, in which the universality of Mediatorship occupies a central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