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교합이 있는 환자는 치아접촉 및 수직피개의 감소를 나타내며 교합평면의 부조화, 저작 곤란, 언어 장애, 외모 변화 및 정상보다 낮은 교합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교합이 완성된 성인에서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인해 발생한 개방교합은 원인요소의 제거 또는 관절상태의 안정화가 먼저 이루어진 후 교합 수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교정치료, 교합조정, 보철 치료, 외과적 치료법 등이 있다. 본 증례보고는 교합이 완성된 성인에서 하악의 변위로 인해 개방교합이 발생한 두 명의 환자에서 교합 변화의 원인을 추정해 보고 원인에 따라 다른 치료 접근방법에 대해 살펴 보는 것이다. 관찰한 환자 중 한 환자는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 후 교합조정을 통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도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pen bite is accompanied by decrease in tooth contact and overbite, and causes collapse of occlusal plane, mastication difficulties, speech disorders, changes in appearance, and lower occlusal force than normal. Open bite caused by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adults with complete occlusion must be corrected after removal or stabilization of the causative factors. Orthodontic treatment, occlusal adjustment, prosthe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can be the option of occlusal correction. This report describes about estimating the cause of occlusion change in two patients who developed an open bite due to mandibular displacement in adults with complete occlusion and different treatment approaches accordingly. In one patient, satisfactory result was obtained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through occlusal adjustment after stabiliz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