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화학 교사의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emistry Teacher
김현정, 김성기
대한화학회지 66권 5호 405-415(11pages)

이 연구는 설명적 순차 설계를 이용하여 화학 교사의 수업에서 수행되는 8가지 수행평가 방식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개 고등학교의 439명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5개 학교의 28명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설문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다양한 수행평가 방식보다는편중된 평가 방식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가장 재미있게 느꼈던 수행평가 방식에서는 직관적 확인 가능 여부, 진로와의 관계, 내적 성장 등을 언급하였으며, 어려움을 느꼈던 수행평가 방식에서는 준비도와 불명확한 평가 기준을 언급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화학 과목과 관련이 적은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거나 평가 기준이 상대적으로 불명확하다고생각할수록 적절한 수행평가 방식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8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in a chemistry teacher’s class by using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39 students from 10 high schools, and after that, 28 students from 5 schools were interviewed to interpret the survey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biased assessment method rather than various performance methods. Second, intuitive confirmation, relevance to a career path, and internal growth were mention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that felt fun, and readiness and unclear evaluation criteria were mention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that felt difficult. Thir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it was not an appropriate performance method if the assessment result was affected by individual abilities less relevant to the chemistry subject or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uncle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