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인 시신에서 다섯째발허리뼈바닥에 닿는 짧은종아리근힘줄과 발바닥널힘줄가쪽띠의 형태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Fibularis Brevis Tendon and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Insertion on the Fifth Metatarsal Base in Korean Cadavers
김디귿, 조재호, 이미정, 권형욱, 최유진, 박광락, 박사범, 박정현

짧은종아리근힘줄과 발바닥널힘줄가쪽띠는 다섯째발허리뼈거친면의 골절에 발생기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의 다섯째발허리뼈바닥에 닿는 짧은종아리근힘줄과 발바닥널힘줄가쪽띠의 형태 분류 및 측정을 통해 다섯째발허리뼈의 몸쪽골절, 특히 찢김골절의 분류에 대한 해부학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한국인 시신 48구 (남자 33구, 여자 15구)에서 96쪽의 발을 사용하였으며, 시신의 사망 시 평균 나이는 78.7±12.4세였다. 짧은종아리근힘줄 닿는곳의 형태 분류는 Imre 등의 분류법을 사용하였으며, 짧은종아리근힘줄과 발바닥널힘줄 가쪽띠 닿는곳의 길이도 측정하였다. 짧은종아리근힘줄 닿는곳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1형은 51쪽 (53.1%), 2형은 39쪽 (40.6%), 3형은 6쪽 (6.2%)으로 분류하였다. 짧은종아리근힘줄 닿는곳 길이는 14.0±4.3 mm, 발바닥널힘줄 가쪽띠 닿는곳 길이는 14.1±4.6 mm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짧은종아리근힘줄의 형태 분류 및 짧은종아리근힘줄과 발바닥널힘줄가쪽띠 닿는곳 길이 측정을 통해 형태 특성을 확인한 결과, 찢김골절의 분류에 있어 새로운 기준 마련에 대한 해부학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bularis brevis tendon and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ar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sertion morphology of the fibularis brevis tendon and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on the fifth metatarsal base using Korean cadavers. As the research object, we used 96 feet 48 Korean cadavers (33 male, 15 female), with an average age at death of 78.7±12.4 years.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fibularis brevis tendon insertion was performed using the method of Imre et al. For morphological measurement, the length of the area where the fibularis brevis tendon and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were inserted was measured. The insertion of the fibularis brevis tendo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with one tendon in 51 feet (53.1%), type 2 with two tendons in 39 feet (40.6%), and type 3 with three tendons in 6 feet (6.2%). The length at the point of insertion with the fibularis brevis tendon was 14±4.3 mm, and the length at the point of insertion with the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was 14.1± 4.6 mm.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bularis brevis tendon and plantar aponeurosis lateral band could provide basic anatomical data for a new classification of avulsion fractur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