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신체기능 수준을 평가하는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SPPB) 준거참조평가 기준에 대한 양호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검사도구의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았으며, SPPB 평가기준으로 분류된 집단의 분류 일치도와 분류 정확도 그리고 ROC 곡선 분석으로 추정한 기준점을 준거로 평가기준에 대한 정확도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연구의 대상은 만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 이동 능력에 제한이 없으면서 자립적 생활이 가능한 60명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25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 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카이제곱,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 단순동의계수, 카파계수, 일반화 카파계수를 산출하였으며,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PPB 검사도구의 높은 재검사 신뢰도, 평가기준의 높은 분류 일치도, 평가기준의 높은 분류 정확도, 평가기준의유용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SPPB 검사 평가기준은 한국 노인들의신체기능 수준을 파악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SPPB test evaluation criteria in evaluating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Concordance and accuracy were analyzed, and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criteria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elderly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who could lead an independent life without restrictions on mobility.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25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to calculate chi-squar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agreement coefficient, kappa coefficient, and generalized kappa coefficient.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 retest reliability of the SPPB test tool, the high classification agree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e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verifi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The SPPB test evaluation criteria ve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an objective basis that can be usefully appli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