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국제탄소시장 연계에 대비한 법제 연구
A study on legislation regarding the linking of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김은정

1. 배출권거레제의 도입배경 한국의 이명박대통령은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Low Ca

제 1 장 한국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내용 /11
1.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배경  /13
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법과 동법 시행령의 주요내용  /14
(1)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14
(2) 계획기간 /15
(3)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의 수립  /15
(4) 배출권의 할당대상업체  /17
(5) 배출권의 할당기준 /20
(6)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20
(7) 배출권의 무상 할당비율 /21
(8) 조기감축실적의 인정  /22
(10) 배출권의 거래  /24
(11) 시장안정화 조치  /25
(12) 배출권의 이월과 차입  /26
(13) 상 쇄  /26
(14) 배출권의 제출 /27
(15) 배출권 미제출 시의 벌칙  /28
The greenhouse gases emission trading system in South Korea - Its major contents /31
1. Background to the adoption of the greenhouse gases emission trading system (“ETS”) /33
2. The Act on the Allocation and Trad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llowances and its presidential
decree - major contents /34
(1) Establishment of the Master Plan for the ETS /34
(2) Allocation period /35
(3)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llocation Plan /36
(4) Businesses eligible for emissions allowance allocation /38
(5) Allocation standard /41
(6) Reports on GHG emissions /42
(7) Ratio of allocation without consideration /43
(8) Recognition of earlier reduction record /44
(9) Readjustment of allocation /45
(10) Trading /46
(11) Measures for market stabilization /47
(12) Banking and borrowing /48
(13) Offset /49
(14) Surrender of emissions allowances /50
(15) Penalty imposed on a business failing to submit emissions allowances /50

제 2 장 뉴질랜드 배출권 거래제의 주요 내용 /53
1. 배 경  /55
(1) 교토 공약 /55
(2) 입법 배경  /55
(3) 뉴질랜드의 배출량 개요 /56
(4) 뉴질랜드 배출권 거래 제도의 소개  /57
2. 적용범위  /58
3. 면허 공급(경매 포함) /63
(1) 철거 활동에 대한 단위 공급 /63
(2) 전체 상한에 속하는 경매  /64
(3) 배출집약적 무역활동에 대한 무료 할당 /64
(4) 보상 제공을 위한 일회성 무료 할당 /65
4. 가격 규제  /66
5. 감시와 신고, 검증[및 준수] /67
6. 단위의 금융/차용 /68
7. 국제 연계  /68
New Zealand Emissions Trading Scheme /71
1. Context /73
(1) Kyoto commitment  /73
(2) Legislative history /73
(3) New Zealand’s emissions profile /74
(4) Introduction of the New Zealand Emissions  /76
Trading Scheme /76
2. Sectoral coverage /77
3. Permit supply (including auctioning) /83
(1) Supply of units for removal activities /83
(2) Auctioning within an overall cap /84
(2) Free allocation to emissions-intensive trade-exposed activities /84
(3) One-off free allocation to provide compensation /86
4. Price controls /87
5. Monito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and compliance] /87
6. Banking/borrowing of units /88
7. International links /89

제 3 장 한국과 뉴질랜드 배출권 거래제의 비교 분석  /91
1.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93
2. 계획기간 /93
3.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의 수립  /93
4. 배출권 거래제 적용대상 /94
5. 배출권의 할당 /94
6. M·R·V /96
7. 조기감축실적의 인정  /96
8. 할당의 조정  /97
9. 배출권 거 래제 참여 주체  /97
10. 시장안정화 조치  /98
11. 이월과 차입  /98
12. 상 쇄  /98
13. 배출권 미제출시의 벌칙  /99
14. 국제탄소시장과의 연계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