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거시경제모형 연구의 의의 /3
제1절 한국거시경제 모형구축 프로젝트의 의의 /3
제2절 거시모형 연구의 주요 이슈 및 개발방향 /5
제3절 본 보고서의 구성 /12
Part Ⅰ: DSGE 모형의 개관 및 연구방향
제2장 DSGE 모형 개관 및 KDI-DSGE 모형 개발 방향 /17
제1절 DSGE 모형의 등장 배경 /17
제2절 실물적 경기변동 모형 (Real Business Cycle Model) /18
1. 모형의 주요 특징 /18
2. 기본 RBC 모형의 구조 /19
3. 모형의 해와 수치해석 방법론 /22
4. 모형에 대한 평가 기준 /23
5. RBC 모형에 대한 평가 /24
제3절 새케인지안 모형 (New Keynesian Sticky Price Model) /25
1. 모형의 배경 및 주요 특징 /25
2. 모형의 기본 구조 /27
3. 새케인지언 필립스 곡선(New Keynesian Phillips Curve) /30
4. 새케인지언 기본 모형 및 평가 /31
제4절 신흥시장국 경기변동 특징 /32
1. 교역조건 충격 /33
2. 국제금리 충격 /34
3. 항구적(permanent) 생산성 충격 /34
제5절 소결: KDI-DSGE 전망 모형 개발 방향 및 이슈 /35
1. 추세(trend) 요인에 대한 고려 /35
2. 대외개방성(openness)의 반영 /35
3. 고려대상 충격요인 /36
4. 모형내 마찰적 요인의 고려 여부 /37
제3장 DSGE 추정방법론 /48
제1절 Calibration /48
1. 개념 /48
2. 간단한 신고전학파 성장 모형의 Calibration /49
제2절 ML Methods for Estimation of DSGE Models /59
1. DSGE 모형의 추정을 위한 우도함수 접근법에 대한 소개 /59
2. 우도함수 접근법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60
3. 추정방법 및 주요 알고리즘 /62
4. 기본 RBC 모형의 추정 /66
5. 요약 /71
제3절 베이지안(Bayesian) 추정 방법 /74
1. 개 관 /74
2.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 /75
3. 베이지안을 이용한 사후분포의 도출 /79
4. 사후 분포에 대한 모의실험 방법(Posterior Simulators) /83
5 베이지안을 이용한 DSGE 모형의 추정 /90
Part Ⅱ: 거시모형을 이용한 한국경제분석
제4장 주요 DSGE 모형의 특징 및 적용가능성 검토 /99
제1절 주요 DSGE 기반 전망모형의 특징 /99
1. 배경 연구 /99
2. 주요 해외기관의 DSGE 기반 전망 모형 /100
3. 한국은행의 DSGE 모형 /101
제2절 ECB-AW 모형 추정 결과 /102
1. ECB-AW 모형의 Linearization 결과 /102
2. 계수의 추정방정식 /105
3. Data /106
4. 파라미터의 사전분포 및 사후분포 /107
5. 충격반응함수 /113
6. DSGE 모형과 VAR 모형과의 비교 /116
제3절 Riks Bank 모형 추정 결과 /119
1. Stochastic Shock Process /119
2. Data /120
3. 파라미터의 사전분포 및 사후분포 /121
4. Actual and Predicted Values of Data /123
제4절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 /124
제5장 추세와 기대변수의 관계에 대한 연구 /128
제1절 연구의 의의 /128
제2절 정보의 효율성과 기대변수 /129
제3절 기대변수의 보정과정 /132
제4절 적용: 인플레이션 동태적 분석 /136
제5절 우리나라 물가동학의 추정 /139
제6절 결론 /147
제6장 계량모형을 이용한 한국경제분석 /153
제1절 서론 /153
제2절 모형의 기본구조 /154
제3절 거시계량모형의 주요방정식의 추정결과 /156
제4절 계량모형을 이용한 정책효과 분석 /163
1. 통화정책의 효과 /163
2. 재정지출 효과분석 /165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