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한국의 국가혁신체제
이공래, 송위진
조사연구 1988권 1호 0-0(649pages)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는 지난 60년대 산업화와 공공 연구기관을 설립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구축되기 시작했다. 약 40년이 지난 현재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는 1995년 현재 9조 4,400억원의 연구개발 투자액과 13만명 이상의 연구인력을 포용하고 연 255조억원 이상의 생산액과 1,250억 달러 이상의 수출액을 달성하는 우리 경제체제를 뒷바침 하고있다. 우리의 국가혁신체제가 어느정도의 성숙된 모습을 갖추고 있으나 이것이 생명력을 갖고 우리의 독창적인 과학기술지식을 창출하는 데는 아직도 많은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다.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국민경제를 떠받치고 활력을 불어 넣어야 할 국가혁신체제의 취약점은 곧 우리 경제의 약점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는 종합적으로 기술혁신의 제도적 환경이 미약하고 과학기술 하부구조가 미비되어 있는 등 국가 과학기술의 기반이 취약하다. 그리고 국가 기술혁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환경이 과학기술의 혁신에 유리하게 조성되어 있지 못하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을 중시하고, 과학기술자를 소중하게 여기며, 기술이 곧 국력이며 국제경쟁력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사회문화를 갖고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같은 인식 부족은 사회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것이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국가 운영과 국민의 사고 성향에 투영되어 있다. 과학기술 하부구조와 제도적 환경의 미비는 기술확산 메카니즘의 형성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국가의 기술혁신능력의 축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과학기술 투자로 인하여 지난 30여년 동안 공공 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혁신 주체들이 빠르게 성장해 왔으나 이들간의 미약한 연계로 인하여 과학기술지식의 확산이 원활하지 못하고 시스템내에서의 기술확산 메카니즘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국가혁신체제가 갖는 또 하나의 취약점은 최대 혁신주체의 하나인 대학이 제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대학은 과학기술지식을 창출하고 가공, 생산하여 기업에게 확산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학은 연구를 통한 지식의 생산보다는 다른 곳에서 생산한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에 치중해 왔다. 따라서 대학이 전체 박사급 연구인력의 76.0%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가능케 하는 연구에 있어서는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의 취약점은 주로 공공부문과 연관된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그동안 국제경쟁력을 상실한 것도 공공부문의 역할 부진에 상당부분 기인한다. 즉, 대학의 연구기능 취약이나 공공 연구기관 등 혁신주체간의 미약한 연계, 기술확산 메가니즘과 정책의 부족r 과학기술 하부구조의 미비, 미약한 과학기술 환경 등 국가혁신체제의 약점이 민간기업의 기술능력을 배양하는 역할을 다하지 못한 결과 우리 경제는 지금 국제경쟁력을 앓고 있다. 그러한 반면,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는 긍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강점은 우리 국민의 강한 교육열로 인하여 매년 고학력 인력이 왕성하게 공급되고 있는 점이다. 인구 10만명당 이공계 학사 이상 고급인력의 배출규모가 163명으로서 일본 84명, 미국 94명에 비해 월등하게 많다. 우리나라는 바로 이 고급 인력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강력한 국가혁신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머리말 /김인수 5 
요약 9 
?제1장 서론?  
목차  13 
제1절 국가혁신체제 연구의 배경 /이공래 21 
1. 우리 경제의 현안 과제 21 
2. 위기극복의 방향 기술 혁신 27 
3. 시스템 접근을 통한 정책대안의 모색 29 
제2절 국가혁신체제론의 관점 /송위진?이공래 36 
1. 국가혁신체제에 관한 선행연구 36 
2. 국가혁신체제론의 주요관점 40 
3. 결론 및 정책적 함의 47 
제3절 국가혁신체제의 분석모형 /이공래 52 
1. 개념 정의 52 
2. 국가혁신체제의 구성주체 58 
3. 국가혁신체제의 분석모형 61 
제2장 정부의 역할과 정책  
제1절 기술공급정책 /임윤철 73 
1. 기술혁신정책의 유형과 기술공급정책 73 
2. 기술공급정책의 분석모형 75 
3. 우리나라 기술공급정책의 추진과정과 평가 77 
4. 앞으로의 정책방향 90 
제2절 기술수요정책 /김선근 96 
1. 기술수요정책의 정의 96 
2. 기술수요정책의 전략적 의미 99 
3. 산업화과정에서의 기술수요정책 103 
4. 우리나라 기술수요정책의 평가 109 
5. 앞으로의 정책방향 114 
제3절 기술확산정책 /이공래 119 
1. 기술확산정책의 개념과 유형 119 
2. 우리나라 기술확산정책의 현황 124 
3. 기술확산 프로그램의 추진사례 129 
4. 기술확산정책의 효과와 문제점 135 
5. 앞으로의 정책방안 139 
제4절 연구개발투자정책 /박병무 144 
1. 연구개발투자의 정의와 특성 144 
2. 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당위성 145 
3.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 148 
4. 연구개발투자정책의 주요 문제점 160 
5. 향후의 정책방향 163 
제5절 지역혁신정책 /정선양·이장재 169 
1. 지역혁신정책의 등장 169 
2. 지역혁신정책의 발전 과정 170 
3 우리나라 지역혁신정책의 현황 173 
4. 지역혁신정책의 사례: 충청북도 183 
5. 향후 지역혁신정책의 방향 186 
제6절 중소기업혁신정책 /이재억?박동현 191 
1. 중소기업 지원의 당위성 191 
2. 중소기업 기술개발의특성 193 
3. 중소기업 기술혁신시책의 현황 196 
4. 향후의 정책 추진 방향 204 
제3장 기술혁신의 하부구조와 연계체제  
제1절 인력양성과 교육훈련 시스템 /고상원 215 
1. 인력양성체제의 유형 215 
2.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 218 
3. 우리나라의 직업훈련 시스템 223 
4. 인력양성체제의 개편 방안 231 
제2절 대학의 연구활동과 산· 학협력 /이장재 236 
1. 대학연구의역할 236 
2. 국가혁신체제에서의 대학연구의 위치 238 
3. 정부의 대학연구 진흥정책 239 
4. 산?학 협력연구의 실태 분석 245 
5. 앞으로의 정책 추진방안 250 
제3절 정부출연(연)의 연구활동과 산· 연협력 /이달환?오재건 257 
1. 정부출연(연)의 역할 257 
2. 정부출연(연)의 연구개발현황 261 
3. 산·연 협력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275 
4. 앞으로의 정책방향 281 
제4절 과학기술정보의 수집 및 유통 /김치용· 황보열 285 
1. 과학기술정보의 중요성 285 
2. 정보유통시스템의 개념과 특징 286 
3. 우리나라 정보유통시스템의 현황 293 
4. 앞으로의 정책추진방향 303 
제절국방연구개발과민?군협력 /홍성범 308 
1. 민?군 협력연구의 중요성 308 
2. 민?군 협력연구의 개념 310 
3. 민?군 협력연구의 현황과 제약요인 315 
4. 앞으로의 정책추진방안 329 
제4장 기술혁신의 제도적 환경  
제1절 기술금융제도 /이원영 339 
1. 기술금융의 특성 339 
2. 금융시스템과 기술혁신 341 
3. 금융지원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345 
4. 앞으로의 정책방향 353 
제2절 연계조직 /김갑수 359 
1. 기업간 연계와 연계조직 359 
2. 네트워크 중계자로서의 업계단체 362 
3. 우리나라의 연계기관현황 371 
4. 앞으로의 개선방향 379 
제3절 사회·문화환경 /이영회 383 
1. 기술혁신과 사회문화와의관계 383 
2.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와 기술혁신 389 
3. 혁신지향적 사회문화의 방향 407 
제4절 지적재산권 보호제도 /권용수?송위진 413 
1. 지적재산권 보호제도의 의의 413 
2. 지적재산권 보호제도와 기술혁신 414 
3. 우리나라의 현황과 문제점 416 
4. 향후 제도개선의 방향 427 
제5장 국제 과학기술 원천과 환경  
제1절 국제과학기술협력환경 /정성철 433 
1. 국제협력의 유인요소 433 
2. 국제협력의 여건 434 
3. 국제협력과제 434 
4. 협력전략 방향 436 
제2절 외국기술의 도입과 효과 /서중해 439 
1. 기술도입의 위치와 의미 439 
2. 기술도입의 현황과 특성 440 
3. 기술도입정책의 변화 444 
4. 기술도입의 효과 446 
5. 결론 및 정책시사점 454 
제3절 기업의 해외기술 획득 /조현대 457 
1. 해외기술의 획득 환경 457 
2. 기업의 해외 기술획득 유형 459 
3. 해외 기술획득의 사례 분석 461 
4. 결론 및 정책시사점 475 
제4절 기업활동의 세계화 /이명진 480 
1. 기 업활동세계화의 대두 480 
2 기업활동 세계화의 내용 481 
3.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현황 485 
4.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연구현황 487 
5. 결론 및 시사점 491 
제6장 민간부문의 기술혁신체제  
제1절 제조업 기술혁신의 실태와 특성 /윤문섭· 장진규 497 
1. 기술혁신조사의 의의 497 
2. 우리나라 제조업의 기술혁신 활동 특징 498 
3. 기술혁신 기업의 기술개발 특징 502 
4. 기술혁신의 성과 510 
5. 결론 및 시사점 516 
제2절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송위진 519 
1. 벤처기업의 중요성 519 
2.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현황 520 
3. 벤 처기업혁신성의 원천에 관한 논의들 521 
4. 벤처기업 기술혁신의 사례 524 
5. 정책시사점 539 
제3절 자본재산업의 기술혁신 /이공래 545 
1. 기술혁신의 특징과 중요성 545 
2. 산업의 성장과 기술혁신 추이 548 
3. 기업의 자본재기술 축적 과정 553 
4. 자본재 기술혁신의 제약요인 558 
5.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 561 
제4절 생명공학산업의 기술혁신 /안두현?한성구 569 
1. 생명공학산업의 발전 비젼 569 
2. 생명공학산업의 기술혁신 특성 572 
3 우리나라 기술혁신 시스템의 특징 578 
4. 결론 및 정책시사점 589 
제7장 종합평가 및 정책제안  
제1절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제의 특징 /이공래?송위진 595 
제2절 우리나라의 강점과 제약요인 /이공래?송위진 616 
제3절 앞으로의 정책방향 /이공래 625 
제4절 향후의 연구과제 /이공래 637 
〈영문요약> 640 
〈표목차> 643 
〈그림목차> 6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