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국가연구개발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황석원, 안두현, 최승현, 권성훈, 천동필, 김아름, 박종혜, 황석원, 안두현, 최승현, 권성훈, 천동필, 김아름, 박종혜
정책연구 2009권 24호 0-0(316pages)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부 및 기업 R&D투자의 경제적 성과에 대한 요구가 크고, R&D투자 효율성 제고 방안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방법론에 따라 R&D투자 효율성의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필요한 지표 및 분석 단위를 설정한 뒤 해당 분석 단위에 따라 투자효율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범정부 차원에서 시급한 상태이다. 주요 연구내용 미시적 관점의 연구개발 투자효율성을 분석하고 R&D 투자효율성의 정의 및 측정 방법론을 개발한다. 또한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어떠한 정책변수 및 환경 변수가 투자 효율성의 차이를 초래하는지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R&D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한다 결론 산업기술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 심층분석 효율성 분석 결과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 절반 이상의 사업이 규모수익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효율성 분석 결과, 절반 이상이 논문이나 매출보다는 특허와 고용에 우위를 보임 기관별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연구소의 효율성이 가장 낮게 나타남 회귀분석 결과, 기술수명주기로 볼 때 국내 기술수명주기 기준으로 성숙기에 해당하는 사업들의 경제적 효율성이 가장 높고, 선진국 기술수명주기 기준으로는 쇠퇴기에 속한 과제들의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남 민간투자와 협력연구가 연구개발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민간투자의 비중이 높을수록 연구개발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민간부문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 국내 타 기관과의 협력 정도가 높을수록 연구개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개방형 혁신(Chesbrough, 2003)` 패러다임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함 해외 기관과의 협력 정도가 높을수록 연구개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중 해외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유인책의 필요성을 시사함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개발 효율성 저해요인 분석과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 방안 도출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개발 효율성이 낮게 평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율성 저해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 동일기간 내 여러 과제 수행으로 인한 집중도 분산/행정업무 부담으로 연구진행과 연구효과 반감/업무성과와 다른 개인별 성과체계/객관적 평가와 성과 도출을 시행할 수 없는 조직문화/효율적인 과제 선정·관리시스템 부족/총연구비 대비 직접비 낮음/우수인력 유치를 위한 지원제도 부족/안정적 연구 분위기 조성의 어려움/ 낮은 수준의 기술정책 정책제언 첫째로, R&D 효율성 측정방법의 신뢰도 제고가 필요(R&D효율성 분석방법론 연구 지속 추진 필요)하고, 둘째로, R&D효율성 측정 및 분석 결과를 정부 정책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수단 마련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R&D효율성 제고 정책방안 도출 절차의 정례화가 필요하다.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3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내용  24 
제3절 보고서의 구성  25 
제2장 선행연구  28 
제1절 효율성  28 
1. 생산성, 효과성과 효율성  28 
2. 효율성의 개념  31 
제2절 연구개발 생산성  33 
1. 연구개발 생산성의 개념  33 
2. 연구개발 생산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35 
제3절 연구개발 효율성  37 
1. 연구개발 효율성의 개념  38 
2.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  42 
제제3장 연구방법론  54 
제1절 DEA  54 
1. DEA 기본 개념  54 
2. 투입지향 DEA모형  58 
3. 산출지향 DEA모형  61 
4. 규모수익불변 DEA모형  64 
5. 규모수익가변 DEA모형  72 
6. 규모수익  76 
제2절 외부 환경요인의 영향을 배제한 효율성 분석 방법  80 
1. 개요  80 
2. 분석 절차  83 
제3절 DEA를 활용한 벤치마킹과 성과목표 분석 방법  87 
1. 개요  87 
2. 분석 방법  90 
제4장 연구개발 투자 및 성과 현황  96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개요  96 
1.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태동과 확장  97 
2. 주요 연구개발사업의 변천  98 
3.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 100 
4. 우리나라 연구개발의 역량  102 
제2절 투자 현황  104 
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104 
2. 국가연구개발사업 분류 기준  106 
3. 연구개발투자  109 
제3절 성과 현황  116 
1. 연구개발 성과 요약  117 
2. SCI논문 성과 현황  119 
3. 비SCI논문 성과 현황  126 
4. 특허출원 성과 현황  132 
5. 특허등록 성과 현황  138 
6. 매출액 성과 현황  143 
7. 고용창출 성과 현황  149 
제5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효율성 측정 및 분석  157 
제1절 연구개발스톡  157 
1. 연구개발스톡의 측정  157 
2. 연구개발시차  160 
3. 진부화율  162 
4. 연구개발 디플레이터  163 
제2절 자료와 변수  164 
1. 자료  164 
2. 변수  166 
제3절 사업의 유형화  174 
제4절 외부 환경요인의 영향을 배제한 효율성 측정 및 분석  176 
1. 1단계: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DEA 적용  177 
2. 2단계: 토빗모형을 이용한 외부 영향의 정량화  180 
3. 3단계: 투입변수의 조정과 DEA 재적용  185 
4. 소결  194 
제6장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 심층분석: 산업기술개발사업  197 
제1절 산업기술개발사업 일반 현황  197 
제2절 효율성 측정 및 분석  201 
1. 연구개발 효율성  202 
2.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  204 
3. 실증분석  214 
4. 소결  217 
제7장 민간투자와 협동연구가 연구개발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219 
제1절 민간투자와 협동연구 현황  219 
제2절 외부 환경요인의 영향을 배제한 효율성 측정 및 분석  222 
1. 1단계: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DEA 적용  222 
2. 2단계: 토빗모형을 이용한 외부 영향의 정량화  224 
3. 3단계: 투입 조정과 DEA 재적용  226 
제3절 민간참여와 개방의 정도가 연구개발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229 
1. 실증분석  229 
2. 소결  231 
제8장 연구개발사업 벤치마킹 분석 및 성과목표 설정  233 
제1절 효율성과 규모수익 분석  233 
1. 효율성 분석  233 
2. 규모수익 분석  236 
제2절 벤치마킹 분석과 성과목표 설정  238 
1. 벤치마킹 대상 분석  238 
2. 성과목표 분석  239 
3. 소결  246 
제9장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개발 효율성 저해 원인과 극복방안  249 
제1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개발 효율성 저해 원인  249 
제2절 해외 연구소 벤치마킹: Salk 연구소 Executive Summary  252 
1. Genesis of Salk Institute  255 
2. Indicators of R&D efficiency  259 
3. Analysis of R&D management  263 
4. Recommendations to enhance R&D efficiency through policy-making  269 
제3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 방안  275 
1. 단기 방안  275 
2. 장기 방안: 해외 벤치마킹 사례로부터 배울 것  277 
제10장 결론  279 
참고문헌  283 
부록. 경제적 성과 관점의 연구개발 투자효율성 제고 사례: 연세대학교 기술이전센터  291 
1. 연세대학교 기술이전 현황  291 
2. 기술이전 전담조직으로서의 역할  293 
3. 연세대학교 기술이전 마케팅 대상 발굴  299 
4. 연세대학교 수요기업발굴프로세스  302 
5. 연세대학교 기술이전 협상 및 사후관리  303 
6. 시사점  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