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과제
송위진, 성지은, 박동오, 김병윤, 박진희, 정병걸, 하정옥
정책연구 2008권 3호 0-0(438pages)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은‘사회적 혁신(societal innovation)’을 촉진하여 사회적 니즈를 통해 충족시키려는 정책이다. 여기서 사회적 혁신이란 에너지, 보건의료, 복지, 안전, 상·하수도와 같은 보건위생시스템, 교통, 통신, 주거,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기술혁신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혁신활동을 말한다.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특성을 규명하고, 새로운 유형의 정책에 필요한 요소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그동안 진행된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활동의 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 혁신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제2부에서는 네덜란드와 핀란드의 정책사례를 살펴보았다. 제3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혁신정책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각 부별로 세부 장의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는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에서는 사회적 목표 지향적 혁신정책의 정의와 등장 배경, 그리고 그것이 갖는 시스템적 시각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존 사회·기술시스템을 지속가능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시키는 전략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 중의 하나인 ‘전략적 니치관리(strategic niche management)론’을 제시하고 외국과 우리나라 사례를 분석하는 틀로 활용하였다. 제2부는 제4-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4장에서는 현재 네덜란드에서 추진되고 있는 ‘에너지 전환’정책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 장에서는 여러 주체가 참여해서 공통의 비전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구체적인 기술개발 궤적을 탐색해 가는 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혁신정책과 환경정책을 효과적으로 통합시킨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혁신정책과 환경정책을 통합한다는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핀란드에서는 그 통합이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것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제3부에서는 제5-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6장에서는 재생에너지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기술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공공부문에서 추진된 재생에너지 개발 정책, 민간부문에서 자체적으로 추진된 재생에너지 개발 활동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의 맹아를 형성하는 실험이라는 측면에서이런 노력이 갖는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가에 대해 다루었다. 제7장에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혁신을 살펴보았다. 의료생활협동조합에서 이루어진 의료서비스 분야의 혁신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예방적 보건의료 서비스의 확충과 지역공동체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갖는 의미를 다루었다. 제8장에서는 해양오염에 대응한 방재기술시스템 개발·확산과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씨프린스호 해양오염 사고라는 의도하지 않은 실험을 통해 학습된 지식과 대응시스템이, 태안에서 발생한 새로운 사고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학습실패의 이유와 향후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경제·사회 환경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혁신정책의 조류로 등장하고 있는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이론과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제성장이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경제 지향적 혁신정책과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이 정책목표, 주요 참여자와 혁신활동의 성격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지적했다. 더 나아가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만이 아니라 사회도 같이 진화하여 사회·기술 시스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만 지속가능한 기술이 지배적 패러다임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소규모의 실험적 혁신 활동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특성을 검토했다. 정책제언 첫째,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은 기존 기술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과학기술과 사회’관련 정책과 제도를 시스템 전환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고 관련 논의를 검토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술예측, 기술영향평가,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 활동, 과학기술 대중화 활동 등을 통해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 구체적인 궤적을 탐색하는 장으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책들은 현재 과학기술정책의 주변부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이제는 새로운 사회·기술시스템을 탐색하고 사회적 학습을 추진할 수 있는 정책수단으로 적극 이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은 장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변화 방향을 제시하고 전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 분야의 중장기 비전과 계획에 대한 혁신주체들을 몰입시키고 계획의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자발적 참여와 토론을 촉진하고 의견을 결집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민간 혁신주체의 정책결정에 대한 책임성과 참여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활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민간 부문에서 형성·발전되는 사회적 혁신과 관련된 활동을 상향식(bottom-up)으로 발굴해서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적 혁신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시민단체가 있는 경우, 정책사업의 운영을 시민사회에 위탁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섹터의 힘을 빌려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효과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사회적 목표와 혁신정책의 통합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혁신활동의 중요 문서에 포함된 상징적 수준의 비전을 넘어 실제적인 차원에서 삶의 질 제고와 경제발전이 같이 이루어지는 비전 형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도 경제적 목표만이 아니라 사회적 목표도 필수적으로 검토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상위 조직에서 사회적 목표가 의사결정의 중요한 원리로 인정될 때에만 현장의 의사결정과정에서도 사회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활동이 뿌리내릴 수 있다. 다섯째,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새로운 유형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칭)『Small Science』사업을 기획하여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사업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환경오염 문제, 보건·위생 문제를 다루는 연구개발사업으로서, 지역사회의 대학이나 사회적 기업들이 주체가 되어서 추진하는 소규모 연구개발사업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 이런 유형의 사업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있는 과학문화활동과도 연계하여 추진할 수 있다.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역혁신사업의 한 부분으로서 이런 유형의 연구개발사업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요약  1 
제1장 서론  27 
I. 문제의제기 27 
II. 연구의구성과내용 28 
1. 제 1부: 사회적목표를지향하는혁신정책의이론 29 
2. 제 2부: 외국의사회적목표를지향하는혁신정책의사례 30 
3. 제 3부: 한국의사회적혁신과정책사례 31 
III. 사회적목표를지향하는혁신정책을파악하는관점 32 
1. 선형적접근 32 
2. 시스템적접근: 사회기술시스템의개선 33 
3. 시스템적접근: 사회기술시스템의전환 34 
제1부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이론  
제2장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특성과 함의 37 
I. 들어가는말 37 
II. 제3장세대혁신정책과사회적목표를지향하는혁신정책의등장 39 
III. 사회적목표를지향하는혁신정책의특성 42 
1. 사회적목표의설정 43 
2. 기술혁신의시스템적특성인식 45 
3. 시스템전환과전략적니치관리 46 
4. 경제적측면의지속가능성 47 
5. 공공적참여자의확대 47 
IV. 함의:“기술기반삶의질향상종합대책”을중심으로 49 
1. 등장배경과개요 49 
2. 평가 52 
V. 맺음말 58 
제3장 지속가능한 기술을 향한 새로운 접근 : 전략적 니치관리 61 
I. ‘지속가능한기술’ 을 향한 질문 61 
II. 전략적니치관리의 개념과 이론적토대 64 
1. 전략적니치관리의 시작과전개 64 
2. 전략적니치관리에서 니치의의미 66 
III. 략적니치관리의방법 67 
1. 전략적 니치관리의방법 67 
2. 치밀하게니치운영하기 69 
IV. 전략적 니치관리의 사례  71 
1. 교 통: 영국과노르웨이의사례 72 
2. 에 너지: 영국의저전력주택과네덜란드의재생에너지 73 
V. 전략적 니치관리의 정책적함의 75 
1. 시스템전환 75 
2. 참여적 거버넌스 76 
3. 장기적관점과 미래지향적접근 77 
VI. 맺음말 78 
제4장 전환 및 전환관리 : 배경과 논리  82 
I. 도입: 왜전환인가 82 
II. 이론적배경: 다층적관점과 시스템혁신 84 
1. 다층적관점 85 
2. 시스템혁신 87 
III. 전환및전환관리 89 
1. 전환의정의와단계 89 
2. 전환의유형 91 
3. 전환의장애물과대안 94 
4. 전환을위한기획과수단 102 
IV. 전환이론에대한이론적논쟁: 성찰성과담론  108 
V. 결 론 109 
제2부 외국의 사회적 목표를 지향하는 혁신정책의 사례 
제5장 네덜란드 ‘에너지 전환’  119 
I. 도 입 119 
II. 네덜란드환경정책 123 
1. 문제인식에서환경정책으로 123 
2. 제 4차환경계획(NMP4)  124 
III. ‘에너지전환’의전개과정: 이론에서정책으로 126 
1. NMP4와전환이론의형성 126 
2. ‘에너지전환’과 전환이론의 성숙 129 
IV. ‘에너지전환’의추진: 분석적서술 139 
1. 추진구조 140 
2. 영향: 기존정책과의관계 141 
V. ‘에너지전환’에대한평가 142 
1. 참여자네트워크: 기존행위자들의주도 142 
2. 학습과정 143 
3. 장기과제와단기목표의괴리 144 
VI. 결론 145 
<부록> 네덜란드전력업계의변천: 1960~2004  147 
1. 목표와인식의변화: 1960~1973  148 
2. 전력레짐의변화: 1989~2004  151 
3. 재생가능에너지 152 
제6장 환경친화적 혁신정책과 정책통합 : 핀란드 사례  163 
I. 서 론 163 
II. 환경-혁신정책통합 165 
1. 환경-혁신정책통합의배경 165 
2. 환경-혁신정책통합의유형 168 
3. 환경-혁신정책통합의효과와어려움 169 
4. 친환경<5077>혁신정책수단 171 
III. 환경정책과 혁신정책의통합: 핀란드사례 173  
1. 정책수립단계의 정책통합 173 
2. 정책집행단계의 정책통합 175 
3. 정책평가와 학습단계의정책통합 178 
IV. 핀란드사례의의의와시사점 181 
1. 정책수립단계 181 
2. 집행단계 183 
3. 평가단계: 사회적 학습과 환경영향평가 186  
V. 결 론 187 
<부록-1> 정책통합개념과통합기제 191 
1. 정책통합연구의필요성 191 
2. 정책통합의의의와제도적조건 191 
3. 정책통합의차원 193 
4. 정책통합의평가기준과형태 195 
5. 정책통합의 통합기제 196 
<부록-2> 시스템전환과정책통합 198 
1. 시스템전환의수단으로서정책통합 198 
2. 시스템전환을위한정책통합메커니즘 200 
제3부 한국의 사회적 혁신과 정책의 사례  
제7장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과 재생가능 에너지  211 
I. 서 론 211 
II . 지속가능한에너지시스템으로의전환과재생가능에너지 214 
1. 시스템전환을통한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의구축 214 
2. 시스템전환전략으로서전략적니치관리 215 
III. 재생가능에너지확대와 연관된 니치실험 218 
1. 정부주도의 니치실험 218 
2. 지자체주도의 재생가능에너지 니치실험  232 
3. 시민주도의 재생가능에너지 니치실험 236 
IV. 실험의 평가와진단 239 
V. 향후과제와전망 242 
<부록> 한국의에너지사회·기술시스템형성과정 244 
1. 석유중심에너지시스템의형성 244 
2. 석유-원자력에너지시스템의 공고화 245 
3. 석유원자력에너지시스템의 모멘텀 246 
 

제8장 재난과 방재기술의 실패 
 252 
I. 들어가는말 253 
II. 방재기술과사회·기술시스템 254 
1. 재난과방재기술 254 
2. 재난, 정책의창과학습 257 
3. 혁신과사회·기술시스템 261 
4. 사례분석의틀 263 
III. 사례: 씨프린스호와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264 
1. 유류유출사고의성격과근원 264 
2. 씨 프린스호의경험과학습 269 
3. 재난의반복과기술의문제 272 
4. 학습실패와사회·기술시스템의문제 276 
IV. 결론과함의 282 
제9장 건강한 지역 공동체 구축으로서의 보건의료  
서비스 혁신 : 의료생활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291  
I. 서 론 292 
1. 질병, 건강, 그리고 보건의료 292 
2. 한국의료생협개괄 293 
II. 이론적 자원 및 분석틀 296 
1. 전략적니치관리론 296 
2. 서비스혁신과사회적혁신 297 
III. 공동체성을회복한지역사회구축을목표로한보건의료  
서비스혁신 301 
1. 의료생협의배경 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