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송위진, 성지은, 김연철, 황혜란, 정재용
정책연구 2006권 25호 0-0(530pages)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외국 기술의 모방에 의거한 모방형 기술혁신모델의 한계가 노정되면서 새로운 기술혁신모델 개발 필요성 증대 ○ 본 연구에서는 모방에 의거한 추격체제를 넘어서는 탈추격형(post catch-up) 기술혁신체제의 모습을 조감하는 작업을 수행했음 ○ 기업, 대학 및 출연연구소, 정부 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탈추격형 기술혁신패턴과 일하는 방식들을 사례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수한 조건에서 탈추격형 기술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탐색 주요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서언과 종합을 제외하고 4부로 구성되어 있음. 각 부는 각각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틀을 제시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제1부: 기술추격에 대한 기존 논의 리뷰와 한국 추격형 혁신체제의 특성 분석 ○ 제2부: 기업의 탈추격형 기술혁신활동 특성 분석: 11개 기업의 사례분석 ○ 제3부: 공공연구부문의 탈추격형 연구활동 특성 분석: 8개 연구팀의 사례분석 ○ 제4부: 탈추격형 정책과 행정체제의 특성 분석: 핀란드, 일본, 한국 비교 분석 기대효과 ○ 탈추격형 혁신체제 구축 전략의 기본 자료로 활용

요 약  
서 장 13 
제1 부 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특성분석 25 
제1 장 기술추격에 대한 기존 논의들의 검토 27 
제1 절 거쉔크론의 선구적 연구 27 
제2 절 추격발전의 사회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 29 
1. 아브라모비츠의 사회적 능력 29 
2. 추격발전과 기술-경제 패러다임 31 
3. 제품수명주기와 김인수의 종합 33 
4. 추격발전의 과정 35 
제2 장 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특성 40 
제1 절 추격발전의 과정 40 
1. 추격발전의 희소성 40 
2. 현재 한국의 위치 42 
3. 추격발전의 일반적 과정 45 
제2 절 한국 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특성 47 
1. 국가혁신체제의 개념 47 
2. 한국 추격형 혁신체제의 특성: 모방형 49 
3. 평가 53 
제2 부 탈추격형 기업기술혁신 특성 분석 55 
제1 장 서 론 57 
제1 절 문제의 제기 57 
제2 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58 
1. 연구방법 58 
2. 연구의 구성 59 
제2 장 후발국의 탈추격형 기업혁신활동 분석의 개념틀 60 
제1 절 후발국 기업의 혁신이론 60 
1. 후발국 기업의 기술추격이론 60 
2. 한국기업의 추격과 탈추격에 대한 논의 62 
제2 절 탈추격형 기업혁신 이해를 위한 기존 이론의 검토 64 
1. 탈추격형 혁신활동의 대두와 새로운 개념틀의 필요성 64 
2. 제품수명주기 이론의 확장 65 
3. 기술의 특성과 기업의 혁신활동 66 
4. 동태적 기업능력 72 
제3 절 탈추격체제 하의 기업혁신활동 분석을 위한 개념틀 73 
제3 장 한국 기업의 혁신활동 현황 분석 75 
제1 절 기업부문의 중요성 강화와 혁신주체의 다변화 75 
제2 절 기업 기술혁신활동의 내용 변화 79 
제4 장 기업 사례 연구 89 
제1절 (주)NK  89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89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시장 환경 82 
3. 주요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의 특성과 경쟁우위 82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84 
제2 절 (주)은성코퍼레이션 96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96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97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98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02 
제3 절 트렉스타 103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103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03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04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08 
제4 절 해빛정보 109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109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0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 및 경쟁우위 요소 111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14 
제5 절 코아로직 115 
1. 기업소개 및 성과 115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16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18 
4. 탈추격형 기술혁신 모델과 관련된 시사점 120 
제6절 휴맥스 120 
1. 기업소개 및 성과 120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22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27 
4. 탈추격형 기술혁신 모델과 관련된 시사점 130 
제7 절 주성엔지니어링 131 
1. 기업소개 및 성과 131 
2.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시장 환경 133 
3. 주요제품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과 경쟁우위 136 
4. 탈추격형 기술혁신 모델과 관련된 시사점 139 
제8절 제넥셀 140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140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42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44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47 
제9 절 씨앤에스테크놀로지 (C&S)  148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148 
2.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시장 환경 151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53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55 
제10절 픽스트리 155 
1. 기업의 성장과정, 자원 및 성과 155 
2. 주요 제품의 기술적 특성 및 경쟁 환경 156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58 
4. 탈추격형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59 
제11절 에이디칩스 159 
1. 기업의 배경 및 개요 159 
2. 기술적 특성 및 시장 환경 160 
3. 주요 제품의 개발과정을 통해 본 혁신과정 및 경쟁우위 162 
4. 탈추격 기술혁신에서 갖는 함의 165 
제5장 탈추격형 혁신활동의 분석과 함의 167 
제1 절 사례연구의 요약과 탈추격형 혁신활동 패턴 분석 167 
1. 제품수명주기 진입 시기에 따른 혁신활동 패턴의 차이 168 
2. 제품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혁신전략과 패턴 170 
3. 후발국 기업의 동태적 기업역량 173 
제2 절 탈추격형 혁신활동에 있어서 한국기업의 특수성 175 
1. 후발국의 탈추격 패턴과 한국 기업의 특수성 175 
2.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해석 : 혁신체제 진화패턴과 연관성 178 
제3 절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연구과제 181 
1. 전략 및 정책적 함의 181 
2. 향후 연구과제 182 
제3 부 탈추격형 공공부문 연구활동 특성 분석 183 
제1 장 서 론 185 
제1 절 문제의 제기 185 
제2 절 연구 방법 및 구성 186 
1. 연구의 방법 186 
2. 연구의 구성 187 
제2 장 공공부문 연구활동 특성 분석의 틀 189 
제1 절 공공부문 연구활동에 대한 기존 논의들의 검토 189 
1. 연구경쟁력에 대한 연구들 189 
2. 조직창의성 관련 연구들 190 
3. 조직학습과정으로서 공공부문 연구활동 192 
제2 절 분석을 위한 개념틀 194 
1. 탈추격형 연구를 위한 조건 194 
2. 탐험적 학습을 통한 지식의 통합과 새로운 지식기반의 구축 195 
3. 공공연구부문과 기업의 상호작용 195 
제3 장 한국 공공부문 연구체제의 진화 196 
제1 절 추격체제에서 공공부문 연구활동 197 
1. 공공부문 연구활동의 특성 198 
2.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상호작용 200 
제2 절 탈추격체제를 지향하는 공공부문 연구활동 203 
1. 공공부문 연구활동 203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 대한 상호작용 204 
제4 장 사례연구 207 
제1 절 단백질합성효소네트워크연구단: 김성훈 교수(서울대학교)  208 
1. 소개 및 배경 208 
2. 최근 연구성과 210 
3. 중요 발견과 성과 210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12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14 
제2 절 세포스위치단백질구조 연구단 / 단백체시스템연구단: 류성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16 
1. 소개 및 배경 216 
2. 단백체시스템연구단 216 
3. 주요 성과 217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18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20 
제3 절 KIST 신경과학센터: 신희섭 박사 221 
1. 소개 및 배경 221 
2. 연구센터 인적 구성 222 
3. 구체적 성과 222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23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25 
제4 절 표준과학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 문대원 박사 225 
1. 소개 및 배경 225 
2. 인적 구성 226 
3. 주요 연구 업무 226 
4. 구체적 성과 227 
5.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28 
6.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29 
제5 절 산화물나노결정 연구단: 현택환 교수(서울대학교)  230 
1. 소개 및 배경 230 
2. 최근 성과 231 
3. 주요 성과 232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33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35 
제6 절 산화물 전자공학 연구단: 노태원 교수(서울대학교)  235 
1. 소개 및 배경 235 
2. 최근 성과 237 
3. 중요 발견과 성과 237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38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40 
제7 절 지능형RF연구센터: 박철순 교수(한국정보통신대학교)  241 
1. 소개 및 배경 241 
2. 센터 조직구성과 인력 242 
3. 구체적 성과 243 
4.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44 
5.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46 
제8 절 ETRI IT-BT 그룹: 박선희 박사 247 
1. 소개 및 배경 247 
2. 주요 연구 분야 247 
3.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248 
4. 탈추격형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249 
제5장 종합 및 함의 250 
제1 절 탈추격형 연구의 특성 250 
1. 탐험적 연구의 시도 251 
2. 지식통합을 통한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 253 
3. 기업과의 관계 257 
4. 연구개발관련 시스템: 연구개발관련 제도들 258 
제2 절 정책적 함의 260 
제4 부 탈추격체제에서의 정책과 행정체제 변화 263 
제1 장 서 론 265 
제1 절 연구의 목적과 문제제기 265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의 구성 268 
제2 장 혁신체제 전환에 관한 이론적 논의 272 
제1 절 혁신체제의 전환과 전환 동인 272 
1. 혁신체제와 경로의존성 272 
2. 혁신체제의 전환의 개념과 단계 273 
3. 전환의 특성과 유형 276 
4. 혁신체제 전환의 동인 278 
제2 절 혁신체제 전환과정에서 정책 대응 280 
1. 혁신체제의 전환과 전환의 어려움 280 
2. 전환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282 
3. 혁신체제 전환의 정책 수단  283 
제3 절 탈추격형 혁신체제하의 정책 및 행정체제 285 
1. 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정책 및 행정체제의 특성 286 
2. 탈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정책 및 행정체제 292 
제4 절 기존 연구 분석과 분석틀 302 
1. 기존 연구 분석과 한계 302 
2. 본 연구의 분석틀 304 
제3 장 핀란드의 탈추격형 혁신체제로의 전환 306 
제1 절 핀란드 과학기술정책과 혁신체제 진화 특성 306 
1. 핀란드의 과학기술정책의 진화 306 
2. 핀란드 과학기술정책과 혁신체제 진화 특성 308 
제2 절 혁신체제 전환과 핀란드 정부정책의 변화 310 
1. 혁신체제 전환의 배경  310 
2. 혁신체제 전환과 정부 정책의 변화 313 
3. 혁신체제 전환에서 나타나는 정책 수단과 기제의 변화 318 
제3 절 혁신체제 전환에 따른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 326 
1. 핀란드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징과 구성 326 
2. 혁신체제 전환에 따른 과학기술행정체제의 주요 변화 331 
제4 절 혁신체제 전환에 따른 혁신 주체 간 관계 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