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과학기술인력의 중요성
□ 과학기술인력은 국가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집단들 중 하나임.
제 2 장 과학기술인력의 정의와 범위
제 1 절 과학기술인력의 다양한 정의
제 2 절 연구의 범위
제 3 장 1960년대 이전의 과학기술자 양성 현황
제 1 절 대한제국기의 과학기술 교육의 진흥과 변질
제 2 절 해외유학의 추진과 억제
제 3 절 한국의 식민지화와 과학기술체제
제 4 절 미군정기의 과학기술 재건
제 5 절 전쟁과 과학기술의 황폐화
제 6 절 근대화와 외국 원조
제 4 장 1960년대 이후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전개
□ 1960년대 이후 과학기술인력 정책은 정부 주도하에 경제개발과 산업화에 맞추어 전개되었음.
□ 1960년대부터 과학기술 정책의 체계화와 더불어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기본틀을 갖추기 시작했음.
□ 제1,2차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기간에는 경공업 육성을 위한 기술공 확보가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중심이었음.
□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육성을 위한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산업별, 수준별로 특성화된 인력을 계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목표였음.
□ 산업구조 고도화에 필요한 고급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을 기존 대학과 별도로 설치함.
□ 198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내실화와 더불어 첨단산업 분야에서 학습, 모방을 통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수급이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중심을 형성했음.
□ 1980년대에는 정부출연연구소와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개발 활동이 증가했고 그에 따라 고급 과학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들이 수행되었음.
□ 1990년대의 과학기술인력 정책은 고등교육 강화를 통해 고급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고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중점을 두었음.
□ 고등교육의 경우 이공계를 중심으로 하는 정원 조절 정책을 기본으로 하고 교육과 연구 기능 분리를 통한 대학 교육 특성화를 추진함.
□ 실업교육에서도 전문성 강화가 1990년대 정책의 기본 방향을 형성함.
□ 1990년대 말부터 새로운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틀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현상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