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전국 청소년 위기상황 실태조사
강석영, 김동민, 하창순
연구보고서 146권 1-425(425pages)

현재 청소년문제는 가정요인, 개인요인, 사회요인 등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로 위기상황에 있고, 위기청소년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청소년범죄 의 증가와 가정의 붕괴 등 사회전체의 문제로 확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청소년 의 지원을 위해서는 우선 현재 청소년이 처한 위기상황, 위기유형과 수준 등에 대한 다양하고 정확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위기청소년의 개인적인 특성과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정책과 지원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실시된 청소년의 위기실태조사는 조사대상의 지역별로 차이, 일률적이지 못한 설문 문항 및 분석 요 인 등으로 인해 위기유형, 위기수준, 위기빈도, 위기요인 등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체 적인 청소년 위기상황파악과 지역별 위기청소년의 실태를 비교하는 데이터로 활용하 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선정하였다. 첫째, 효율적인 위기청소년 지원정책 수립을 위해 위기청소년에 대한 개념적 정의 를 하였다. 둘째, 위기청소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위기청소년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특 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국내외 위기청소년 관련법과 지원체계를 살펴봄으로써 위기청소년 지원에 대한 정보와 발전방향을 살펴보았다. 넷째,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16개 시?도 69,754명의 청소년을 대상으 로 한 설문지를 수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으로 설문에 참여한 청소 년의 위기가능 수준의 분포 및 각 위기요소별 위기수준의 분포를 (1)16개 시도별, (2) 성별, (3)학교급별, (4)학년별, (5)가족형태별, (6)거주형태별, (7)지각된 가정경제 수준 별, (8)지각된 가정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원 수준 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 한 청소년들의 (1)신체적 학대 경험, (2)가정에서의 폭언이나 욕설로 시달린 경험, (3) 가출고려 및 시도, (4)학업중단 고려, (5)자퇴경고 및 퇴학 통보 경험, (6)학교폭력 피 해 및 가해 경험, (7)가스, 본드, 마약류 흡입 경험, (8)음주 및 흡연 경험, (9)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가족과의 갈등 및 일상장애 경험, (10)물품을 훔치거나 갈취한 경험, (11)성폭력(성희롱) 경험, (12)성매매 유혹 경험, (13)자살 생각 및 시도 경험 등을 위 기경험으로 정의하고, 이들 각각을 위기 수준 및 각 위기요소별 위기수준에 따라 분 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보건가족복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원 및 16개시도 청소년상 담지원센터, 시군구 청소년지원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1388 청소년 전화 이용 실태 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분석을 통해 위기청소년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주요 문제점과 분석내용 을 토대로 고위험 청소년 규모 추정, 가정 및 또래 요인의 심각성, 가정 및 또래 요 인에 대한 조기개입의 중요성, 자살 및 인터넷 중독 문제의 심각성, 지역적 특성에 따른 고위험군의 발현 빈도 차이 등에 대한 문제해결방안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및 개입프로그램 마련, 중첩적인 개입망의 필요, 고위험군 청 소년에 대한 개입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 검토 필요, 자살 예방 및 인터넷 관련 문제에 대한 개입방안 재검토 필요, 지역별 청소년 및 유해 환경에 대한 검토 및 지역별 특화된 개입모델 개발 필요, 위기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강화 와 같은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청소년 생활 실태조사 결과분석 
V.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VI. 제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