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SC 박스거더의 손상
1.1 개요
1.2 현황
1.2.1 PSC박스거더교의 손상유형
1.2.2 안전진단 및 보강사례를 통한 손상 유형
1.3 대책
2. PSC 박스거더의 Bearing부 손상
2.1 개요
2.2 현황
2.2.1 OO대교의 손상사례
2.3 문제점
2.4 대책
3. 붕괴유발부재(FCMs)
3.1 개요
3.2 현황
3.2.1 붕괴유발부재 ( "FCMs" )의 예(例)
3.2.2 피로취약부의 예(例)
3.3 문제점
3.4 대책
4. 강재의 부식
4.1 개요
4.2 현황
4.2.1 취약 부위
4.2.2 도막의 손상형태 및 보수방법
4.3 문제점
4.4 대책
5. 강재의 균열
5.1 개요
5.2 현황
5.2.1 파손사례 및 발생위치
5.2.2 피로균열의 원인
5.3 문제점
5.4 대책
6. 교대위치의 불합리
6.1 개요
6.2 현황
6.2.1 사례
6.3 문제점
6.4 대책
6.4.1 교량계획 기본사항
7. 교각 코핑부의 균열
7.1 개요
7.2 현황
7.2.1 파손사례 및 발생위치
7.2.2 파손원인 분석
7.3 문제점
7.4 대책
8. 수중기초의 세굴 및 파손
8.1 개요
8.2 현황
8.2.1 세굴에 의한 교량 붕괴사례
8.2.2 진단시 조사된 세굴사례
8.2.3 세굴의 기본개념 및 발생기구(Mechanism)
8.3 문제점
8.4 대책
8.4.1 사석(Riprap)을 이용한 세굴 방호대책
8.4.2 케이블로 연결된 콘크리트 블록매트
8.4.3 테트라포드(tetrapod)를 이용한 방호대책
8.4.4 장기하상저하 방지를 위한 시설
8.4.5 교량상류부에 수제(Dikes)설치
8.4.6 Sheet pile을 이용한 교각기초 보호
8.4.7 세굴심도 아래에 기초를 확대하여 재설치
9. 받침의 작동기능
9.1 개요
9.2 현황
9.2.1 받침의 분류
9.2.2 손상의 현황
9.2.3 손상 유형의 예
9.3 문제점
9.4 대책
9.4.1 받침선정
9.4.2 받침의 배치 및 시공
10. 신축이음부 유간
10.1 개요
10.2 현황
10.3 문제점
10.4 대책
11. 교량의 화재
11.1 개요
11.2 현황
11.2.1 강교 하부에서 발생한 화재 예
11.2.2 콘크리트교 하부에서 발생한 화재 예
11.2.3 도심지에 위치한 박스형 교량
11.2.4 GAS관의 폭발 (외국의 예)
11.3 문제점
11.4 대책
11.4.1 화재의 예방대책
11.4.2 화재 발생 후 점검 및 안전도 평가 실시
12. 불합리한 보수·보강공사
12.1 개요
12.2 현황
12.2.1 보수·보강실태
12.2.2 국외의 교량관리 방법
12.3 문제점
12.4 대책
13. 시공기록의 보존
13.1 개요
13.2 현황
13.3 문제점
13.4 대책
14. 가설물 설계 발주기준
14.1 개요
14.2 현황
14.2.1 MSS 교량의 가설물 강재사용량
14.2.2 FCM 교량의 가설물 강재사용량
14.2.3 ILM 교량의 가설물 강재사용량
14.3 문제점
14.4 대책
15. 콘크리트 재료관련 시험결과
15.1 개요
15.2 현황
15.2.1 수화열
15.2.2 건조수축
15.2.3 부등건조수축
15.2.4 크리프
15.3 문제점
15.4 대책
16. Prestress 관련 재료의 승인기준
16.1 개요
16.2 현황 및 문제점
16.3 대책
16.3.1 정적재하시험(static loading test)
16.3.2 동적재하시험(dynamic loading test)
16.3.3 하중전달시험 (load transfer test)
17. 자중이 큰 구조물의 전단균열 허용기준
17.1 개요
17.2 현황
17.2.1 전단균열 검토 방법 및 사례
17.3 문제점
17.4 대책
18. 유지관리, 보수·보강 관련한 외부 강선 설치 기준
18.1 개요
18.2 현황
18.2.1 외부 강선에 관한 국내기준
18.2.2 외부 강선에 관한 국외기준
18.3 문제점
18.4 대책
19. 트러스 수직재, 사재 Hand Work Hole에 우수 침투
19.1 개요
19.2 현황
19.2.1 파손사례
19.2.2 파손원인 분석
19.3 문제점
19.4 대책
20. 고장력볼트의 체결불량, 이완 및 풀림
20.1 개요
20.2 현황
20.3 문제점
20.4 대책
20.4.1 혐기성 액상 접착제의 원리
20.4.2 혐기성 액상 접착제를 이용한 볼트체결 및 풀림방지 특성
20.4.3 현장적용 절차 및 사례
21. 현장타설 말뚝머리의 침식
21.1 개요
21.2 현황
21.2.1 사례1
21.2.2 사례 2
21.3 손상 현황
21.4 대책
22. 유송잡물에 의한 하중 산정 불합리
22.1 개요
22.2 현황
22.2.1 피해 사례
22.2.2 유수압(유송잡물 영향 포함)에 관련한 교량 설계기준
22.2.3 유송잡물 충돌에 관련한 교량 설계기준
22.3 문제점
22.3.1 각국 시방기준의 종합 비교
22.3.2 검토 결과
22.4 대책
23. 신축이음장치 연석부 연장 설치
23.1 개요
23.2 현황
23.3 문제점
23.4 대책
24. 보도부 바닥판 균열 및 백태
24.1 개요
24.2 현황
24.3 대책
24.3.1 보도부 표장 시공순서
25. ILM공법으로 시공 된 PSC 박스 교량의 지점부 Insert Plate 선단 균열
25.1 개요
25.2 현황
25.3 문제점
25.4 대책
26. 철골·철근콘크리트(SRC) 교각에서 발생하는 균열에 관하여
26.1 서론
26.2 철골·철근콘크리트 교각 코핑부에 대한 관련 규준 검토
26.2.1 도로교표준시방서 및 콘크리트표준시방서
26.2.2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계산규준 및 해설(2000 대한건축학회) 기준
26.2.3 허용응력설계법
26.2.4 극한강도설계법
26.2.5 철골·철근콘크리트(SRC) 설계법
26.2.6 사용성 기준(2000 도로교설계기준)
26.3 T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균열 현황
26.4 문제접 검토
26.4.1 단면제원 및 작용하중
26.4.2 작용하중에 대한 검토
26.4.3 수화열 및 건조수축에 대한 해석
26.5 결론 및 대책
27. 강교 거더 단부 부식
27.1 개요
27.2 현황
27.3 문제점
27.4 대책